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기축통화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기축통화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국재 무역이나 거래, 금융에서 국가애 관계없이 결제수단으로 널리 쓰이는 통화. 영어로는 Key currency라고 한다. [[유엔]]에서 아예 국제 통화를 하나 만드는 것도 방법도 있겠지만 현실성은 없고, 경제력이 막강하고 가치가 안정된 통화가 기축통화가 된다. 1차대전 이전까지는 [[영국]]의 [[파운드화]]가 [[대영제국]]의 막강한 국력을 바탕으로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했으나 두 차례 세계대전으로 쇠락하면서 <del>[[망했어요]]</del> [[브레튼우즈협정]]을 통해 미국 달러화가 기축통화의 지위를 공식으로 차지하게 된다. 1970년대에 들어 브레튼우즈체제가 붕괴했지만 이미 달러화가 기축통화로 정착했고 미국의 지위나 달러화의 지위 굳건했기 때문에 암묵적으로 그냥 달러를 국제 기축통화로 사용했다. 이를 신브레튼우즈체제라고 부른다. ==기축통화 국가의 혜택과 대가== 기축통화의 지위를 누리는 통화는 여러 가지 장점을 얻게 된다. 예를 들어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가 터졌을 때, [[미국]]은 3차에 걸친 어마어마한 [[양적완화]]를 단행했다. 열나게 돈을 찍어내서 마치 [[헬리콥터]]로 뿌리듯이 통화량을 어마어마하게 늘렸는데<ref>실제로 사용한 방법은 돈을 찍어내서 국채를 비롯한 채권 자산을 사들이는 방법으로 시중에 돈을 풀었다.</ref>, 어지간한 나라라면 [[짐바브웨 달러]] 꼴이 났을 테지만 [[달러화]]는 기축통화의 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찍어낸 돈의 상당 부분이 이른바 달러 [[캐리 트레이드]]로 해외에 흡수되었다. 또한 기축통화 국가의 [[국채]]나 공공채는 그 안정성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 곧, 저렴한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감수해야 할 것도 있다. 가장 큰 것이 무역적자다. 기축통화가 되려면 전 세계에 상당한 양의 통화가 공급되어야 한다. 어떻게 공급할까? 그냥 줄 수는 없다. 외국에서 물건이나 서비스를 수입하면서 그 값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외국에 기축통화를 공급해야 한다. 그 결과 무역적자가 날 수밖에 없다. 만약 무역흑자가 계속 나면 오히려 해외에 있던 기축통화가 자국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기축통화가 말라버려서 국제 결제에 쓸 돈이 없어지게 되고, 기축통화의 지위가 망가진다. 따라서 기축통화 국가는 만성적인 무역적자가 불가피하다. '미국의 최대 수출품은 달러'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미국 역시 수십 년동안 무역적자를 보았다. 만약 우리나라가 그런 식으로 무역적자를 수십 년 동안 보았다면 빚더미에 올라서 경제가 망가졌겠지만 미국은 그 대가로 기축통화를 공급하므로 문제가 생기지 않았던 것. <del>오히려 외국에서 달러를 사기 위해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지불하는 것일 지도 모른다.</del> 그러한 만성 무역적자를 버틸 수 있을 만큼 경제력이 충분해야 하므로 어지간한 초강대국이 아니고서는 기축통화 지위에 올라서기가 힘들다. 실제로 기축통화 또는 준기축통화 지위를 누리고 있는 통화를 가진 나라들은 무역적자나 국가 채무의 규모가 장난이 아니다. ==준기축통화== 기축통화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국제 결제에서 어느 정도 통용되는 통화를 준기축통화라고 한다. [[유로화]], [[일본]]의 [[엔화]], [[영국]] [[파운드화]], [[스위스 프랑화]], [[중국]]의 [[위안화]]와 같은 것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유로화]]는 [[미국 달러]]까지는 아니지만 달러 다음 가는 기축통화의 지위를 인정하기도 한다. <del>기축통화계의 1.5군 또는 [[박명수]]</del> 경제력이 성장한 나라들은 자신의 통화를 기축통화로 키우려고 노력한다. [[유럽연합]]의 [[유로화]]가 그렇고 2000년대 들어서는 중국의 [[위안화]]가 열심히 펌프질 중. 준기축통화로 인정 받을 만큼 비중을 차지하긴 했지만 그래도 [[미국 달러]]화에 비하면 하안참 딸리는 게 현실. [[Category:금융]]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기축통화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