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Hard disk drive. 줄여서 HDD로 많이 쓴다. 풀 네임을 모두 쓰는 경우보다는 하드디스크, 하드드라이브라고 많이 쓴다. 윈체스터 디스크 드라이브(Winchester disk drive)라는 이름도 있는데, 1973년에 IBM이 내놓았던 하드디스크의 상표명이 윈체스터였던 데에서 온 이름이다. 처음 개발한 곳도 IBM으로 역사는 1956년까지 길게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컴퓨터인 에니악이 1946년에 가동되었으니까 겨우 10년 후다. 컴퓨터용 고정식 대용량 보조기억 장지로 금속으로 된 여러 장의 디스크(플래터)와 헤드, 모터, 컨트롤러가 주요한 구성 요소이며, 디스크를 갈아끼울 없다. 케이스는 단단히 밀봉되어 있다. 플래터와 헤드 사이의 간격은 담배연기 입자보다도 좁기 때문에<ref>간격이 좁으면 좁을수록 더욱 적은 전기 에너지로도 읽고 쓸 수 있고 기록밀도도 높일 수 있다. 물론 헤드가 플래터에 닿았다가는 긁혀서 못쓰게 되므로 최대한 간격을 좁히면서도 닿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관건. 플래터가 돌아갈 때 주위에 일어나는 기류의 흐름, 즉 바람을 이용해서 헤드를 띄운다.</ref> 이러한 입자들이 들어오면 안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플래터가 모터의 힘으로 고속으로 돌아가는지라 방열 문제도 신경써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자기 디스크형 기억 장치로, 헤드가 플래터 위를 움직이면서 데이터를 읽거나 쓴다. 보통은 플래터를 여러 장 쓰고 앞뒷면에 모두 헤드를 설치한다. 이 플래터는 금속제로 단단하기 때문에 '하드'라는 이름이 붙었다. 디스크를 갈아끼울 수 있는 [[플로피 디스크]]<ref>플로피(floppy)는 '헐렁한', '딱딱하지 않은'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ref>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붙은 이름이기도 하다. 최근 들어서는 노트북을 시작으로 데스크톱, 심지어는 서버 시장에서도 [[SSD]]에 점점 자리를 내주고 있다.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는 SSD가 워낙에 압도적인 속도를 자랑하다 보니... 하지만 여전히 같은 용량이라면 하드디스크가 훨씬 싼 편이라 [[빅데이터]] 시대에 저장해야 할 데이터의 용량이 어마어마하게 늘어는 현실 속에서는 여전히 하드디스크의 수요도 충분하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