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텔스트라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텔스트라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Telstra [[호주]]의 통신회사. [[옵터스]], [[보다폰]]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호주]]의 3대 이동통신사<ref>그냥 3대라고 한 게 아니라, 자체 이동통신망을 구축한 회사는 이 셋 뿐이다. 호주에는 그밖에도 수많은 이동통신 서비스가 있지만 모두 이 세 통신사의 망을 임대해서 쓰고 있다. 우리나라도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셋만 자체 이동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 상황.</ref>이며 그 셋 중에서도 가장 크다. 유선 무선 모두 호주에서 가장 폭넓은 망을 구축하고 있다. 원래 공기업이었다가 민영화 되었고 원래 유선망에서 시작한 것으로 본다면 우리나라의 KT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이동통신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del>그리고 비싼 요금은</del> SKT와 비교할 만하다.<ref>사실 SKT도 원래 공기업 시절 KT(당시는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자회사인 한국이동통신에서 시작했다가 SK에 매각된 것.</ref> 가장 큰 특징은 유무선에 걸친 가장 넓은 망. 특히 이동통신의 경우, 호주는 땅덩이는 한반도 전체 면적의 34배 정도에 이를 만큼 어마어마하게 넓지만 인구는 한국의 반도 안 되어서 망 구축 투자 대비 효율이 잘 안 나온다. 그래서 이동통신망의 커버리지가 형편 없다. 도시 지역에서야 그럭저럭 잘 터지지만 도시를 벗어나면 급격하게 수신율이 개판이 된다. 고속도로에서도 휴대폰 안 터지는 곳이 즐비하며 내륙 쪽의 소도시나 작은 마을들은 3G, 심지어는 2G 밖에 지원이 안 되는 곳도 많다. 그나마 이거라도 되는 게 감지덕지지 내륙 쪽 작은 마을들은 아예 무선 데이터 통신은 포기하는 게 나을 수준이고 휴대폰이라도 터지면 감지덕지다. 그나마 가장 터지는 지역이 많은 게 텔스트라다. 도시에 살면서 어디 사람 적은 데로 갈 일이 적은 사람들이야 싼 요금을 찾아서 옵터스나 보다폰 쪽으로 가도 되지만 <del>보다폰은 도시에서도 엄청 안 터지는 건 함정</del> 대도시 바깥으로 나갈 일이 많거나 작은 마을 같은 곳에 사는 사람들이라면 텔스트라밖에는 별 대안이 없다. 한국의 이동통신사들은 품질 차이 정도는 좀 있을지 몰라도 수신 지역은 거의 한국 전체를 커버할 정도로 잘 되어 있지만 호주는 통신사마다 커버리지 차이, 또는 망의 세대 차이가 정말 크다. 그래도 옵터스나 보다폰도 계속 망 구축에 투자를 해서 격차는 좁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대도시 밖으로 가면 정말 엄청난 격차를 보여준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텔스트라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