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대구국제공항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대구국제공항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대구는 물론 경북권, 특히 경북 중북부의 항공 교통 중심축이다. 예전에는 예천공항에 일부 국내선 항공편이 있었지만 수요 부족으로 폐지되고 공항 기능도 없어져서 [[포항공항]]과 함께 경북에 남은 공항은 대구공항 뿐이다. 같은 경북이지만 포항은 남동쪽 끄트머리라 대구하고는 권역이 영 다른데다가 포항공항도 KTX가 포항까지 들어가면서 망하는 분위기라... 대구공항도 예전에는 김포 노선 항공편이 꽤 있었지만 KTX 개통 후에는 경쟁력이 영 시망이다보니 폐지되었고 제주 노선만 열심히 굴리고 있다. 다만 대한항공이 인천-대구 노선을 하루 2왕복 운항하고 있다. 이 운항편은 인천-부산과는 달리 내항기가 아니라서 입출국수속을 [[인천공항]]에서 해야 한다. 국제선 쪽은 [[김해국제공항]]이 멀지 않은지라 변변치 않았지만 [[저가항공사]]들이 [[일본]]과 [[중국]] 노선을 넣으면서 편수가 상당히 늘었다. 특히 [[티웨이항공]]이 많고 [[에어부산]]도 대구공항을 제2허브로 하면서 일본 노선을 열심히 굴리고 있다. 그밖에는 [[대한항공]]이 [[선양]] 노선을, [[중국동방항공]]이 [[상하이]] 노선을 넣고 있다. [[김해공항]]이 포화상태라 항공편을 늘리기가 어려워졌고 아무리 경기가 장기 침체라고 해도 대구경북권의 경제 규모나 여행수요도 상당하다. [[저가항공사]]로서는 충분히 공략할만한 경쟁력이 있다. [[김해공항]]이나 [[광주공항]]처럼 공군기지와 함께 활주로를 쓰고 있는 군사공항이다. 비행기 안에서 사진촬영 금지.. 인데 [[김해공항]]은 어느 샌가 사진촬영 금지 안내가 안 나오는 걸 보면 이쪽도 그럴지도...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주위에 즐비하다보니 전투기가 뜨고 내릴 때의 소음이 어마어마해서 늘 애물단지 같은 존재다. 대구 시민들한테야 접근성 면에서 괜찮은 지금의 입지가 좋긴 하지만 주변 주민들은 빨리 좀 옮겨달라고 아우성이고, 한편으로 보면 공항 확장도 어렵고 이착륙 제한도 많다 보니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결국은 박근혜정부 때 대구공항을 이전하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대구경북권은 이참에 무산된 밀양신공항 대신 대구신공항을 영남권의 대표 국제공항으로 키우자고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영남신공항이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이 나서 24시간 운영 여부를 비롯한 여러 논란들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이참에 대구신공항을 24시간 운영 가는한 입지에 세워서 사실상 영남신공항으로 만들자는 것.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대구국제공항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