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육포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육포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고기]]의 수분을 대부분 날려서 보존성을 좋게 만든 음식.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비롯한 다양한 [[고기]]로 만들 수 있다. [[참치]] 같은 생선살로 만드는 육포도 있다. [[호주]]에 가면 [[캥거루고기]], [[악어고기]], [[에뮤고기]]로 만든 육포도 볼 수 있다. 보통은 고기를 얇게 저며서 수분이 날아가기 좋게 한 다음, 일단 열풍이나 햇볕으로 수분을 어느 정도 빼주고 구워서 익힌다. 그 전에 [[소금]]을 뿌려서 수분이 충분히 날아가기 전에 박테리아가 고기를 썩게 만드는 것을 어느 정도 막는다. 육포를 만들기 전과 만든 후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정말 어마어마하게 줄어든다. 인체의 70%가 물이라는 말처럼, 고기도 대부분이 수분인데, 수분을 대부분 날리게 되면 어마어마하게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다. 같은 무게 당 칼로리는 당연히 고기보다 훨씬 높다. 과거에는 비상식량이나 전투식량으로도 애용했는데 보존성도 좋고 조금만 먹어도 에너지를 채워주기 때문에 꽤나 좋은 전투식량인 셈. 시중에 파는 육포는 대부분 이래저래 [[소르빈산칼륨]]과 같은 [[방부제]], [[발색제]] [[아질산나트륨]] 같은 것들로 보존성을 낸다. 이런 것 없이 오래 보관하면 수분을 더 많이 말려야 하는데, 그러면 너무 딱딱해져서 식감도 안 좋고 그래 봐야 보존성에도 한계가 있다. [[싱가포르]] 브랜드인 비첸향처럼 즉석에서 만들어서 파는 것들은 이런 문제가 좀 덜한 편인데 대신 보존기간은 짧다. 비첸향은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있어서 명동이나 몇몇 백화점에 매장을 내고 있으니 한번 먹어보자. 시중에서 파는 육포와는 정말 하늘과 땅 차이다. [[마카오]]의 유명 관광지인 [[성바울성당 유적]]으로 가는 길에는 육포 가게가 유난히 많은데, 그래서 육포골목이라고 부를 정도다. 한국에서 파는 육포는 대체로 두께가 얇은 편이고 부드럽다는 느낌이 드는 반면, 서양 육포를 먹어보면 좀 더 두껍고 퍽퍽한 느낌이 난다. 비슷한 것으로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많이 먹는 것으로 훨씬 딱딱한 [[빌통]]이 있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육포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