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김포국제공항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김포국제공항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del>[[공항장애|최순실이 극도로 싫어하는 곳]]</del>.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기 전까지 서울의 관문이자 한국의 관문 구실을 했던 국제공항. IATA 공항 식별코드는 GMP. 당연히 김포(Gimpo)를 줄인 것. [[인천공항]]이 개항한 후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 바뀌었지만 서울 도심에서 가기에는 김포공항에 월등히 좋다는 점을 무시할 수는 없었다. 한국에서 일본 가는 것보다 서울에서 인천공항 가는 시간이 더 걸리니... 이후 근거리 국제선이 허용되어 지금은 [[일본]], [[중국]], [[대만]] 노선에 한해 단거리 셔틀 개념의 국제선이 운항되고 있다. [[일본]]도 [[나리타공항]]을 개항한 후 [[하네다공항]]을 비슷한 개념으로 활용하려고 했지만 [[나리타공항]]이 막장 테크를 타는 바람에 시망이고 [[하네다공항]]이 미어터지고 있다. 아예 [[인천공항|인천]]은 안 넣고 김포만 들어가는 외항사도 있다. 바로 [[전일본공수]]. 원래부터 한국 노선이 몇 개 없었지만 그나마도 다 없애고 딱 김포-[[하네다공항|하네다]]만 남겨놨다. [[일본항공]]도 [[인천공항|인천]] 노선을 운영하고는 있지만 김포에 더 힘주고 있다. 특히 [[인천공항]]이나 [[나리타공항]]이나 둘 다 [[서울]]과 [[도쿄]]에서 가려면 시간이나 비용이 장난 아닌지라 김포-[[하네다공항|하네다]] 쪽이 엄청 시간 절약이므로 비즈니스 수요가 넘쳐난다. 단거리 셔틀 노선이 장사가 잘 되고 국내선 역시 저가항공사들이 뛰어들면서 [[김포]]-[[제주]] 노선 운항편이 크게 늘어났다.<ref>[[김포]]-[[제주]] 노선이 단일 노선 기준으로 연간 이용객이 전 세계 1위다. 2위는 [[도쿄]]-[[삿포로]].</ref> 다른 국내선 노선도 [[KTX]] 때문에 수요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부산]]을 비롯한 몇몇 다른 노선도 그럭저럭 운영되고 있다. 그 바람에 오히려 터미널 확장 중. 다만 [[호남고속철도]]가 들어오기 때문에 [[광주]] 노선은 타격 좀 받을 예정. 이미 [[울산]]은 비행편이 많이 줄어들었고 [[포항]] 역시 같은 운명이다. 그래도 [[제주]]와 [[부산]]만으로도 국내선은 당분간 건재할 듯. 먼 얘기겠지만 만약 통일이 된다면 육상 교통 인프라라를 제대로 갖추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고, 그나마 항공 교통이 제일 빨리 구축될 가능성이 높다. 시설이 후지기는 해도 [[공항]]도 몇 군데 있고 해서 시설만 좀 보수하면 될 것이고, [[공항]]을 새로 만드는 것도 [[활주로]] 하나에 임시 청사 정도는 [[고속도로]]나 철도를 새로 뚫거나 정비하는 것에 비하면 빠를 테니. 한국공항공사가 관리하는 공항 중에 [[제주공항]], [[김포공항]], [[김해공항]]의 흑자만으로 나머지 공항의 적자를 다 퉁치고도 남는다. <del>긁어모으는 공항 따로 퍼주는 공항 따로.</del> [[인천공항]]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따로 있으므로 열외. 국제선이 인천으로 옮겨간 이후로는 공항 부지에 여러 가지 부대 시설들이 많이 생겼다.[[롯데몰]], [[이마트]], 우리들병원, [[CGV]]를 비롯해서 별 게 다 생겼는데, 면세 구역 바깥이라면 [[인천국제공항]]보다 오히려 시간 보낼 거리가 훨씬 많다. ==국제선 터미널== 과거에는 항공사 라운지가 [[인천공항]]과는 달리 면세 구역 바깥에 있었다. 이걸 모르고 보안 검색에 출국심사까지 받고 나서 엥? 라운지가 어딨지? 하고 헤매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 반대로 라운지에서 너무 여유 부리다가는 보안 검색이나 출국심사 때문에 늦을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2018년에 리뉴얼을 마치고 나서는 라운지가 면세구역 안쪽으로 옮겨져서 라운지 이용이 한결 편해졌다. 하지만 면세점의 규모는 여전히 [[인천공항]]과 비교할 수 없이 협소하다. 거기에 [[일본]] [[중국]] 관광객들이 바글바글하다 보니 도떼기시장이 따로 없다. 사실 한국 공항 면세점 고객의 상당수는 내국인 아니면 중국인, 일본인 정도 순서인데 바로 김포공항 국내선이 이들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면세점 혼잡이 만만치 않다. ==국내선 터미널== 2016년 11월에 확장공사가 일부 완료되어 게이트가 15에서 20으로 늘어나 승객 처리에 숨통이 조금 트였다. 단 늘어난 게이트가 모두 탑승교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각주}} [[Category:공항]]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김포국제공항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