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카라아게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카라아게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Karaage ginza lion.jpg| 500px|섬네일|없음|[[일본]] [[긴자라이온]]의 [[닭고기]] 카라아게.]] から揚げ(からあげ、空揚げ、唐揚げ)。 [[일본]]식 튀김 요리. 재료를 한입 크기로<ref>대체로 한입에 먹기는 좀 크긴 하다.</ref> 자른 다음 튀김가루에 굴려서 얇게 [[튀김옷]]을 입한 다음 기름에 튀겨낸다. [[튀김가루]]로는 [[밀가루]], [[녹말]]가루에 간과 양념을 해서 만들어 쓰기도 하고 아예 카라아게용 [[프리믹스]]도 나와 있다. 튀김옷에 간을 하기 때문에 가게에 따라 다르지만 찍어먹는 소스가 아예 안 나오는 곳도 있고 [[폰즈]] 정도가 나오는 것도 있다. 일부 사전이나 위키에는 [[튀김옷]]을 입히지 않고 튀긴 것을 카라아게라고 부른다는 식으로 설명 되어 있는데 잘못된 것. [[튀김옷]]을 아예 입히지 않고 튀겨낸 요리는 스아게(素揚げ)라고 한다. 한편 [[텐푸라]]는 차갑고 묽은 반죽으로 된 [[튀김옷]]을 입혀서 튀겨낸다. [[튀김옷]]에다가 [[빵가루]]까지 묻혀서 튀겨내는 것은 [[커틀릿]], 곧 카츠(カツ)가 된다. 그냥 카라아게라고 하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만드는 [[튀김]]요리는 다 들어가겠지만 그냥 카라아게라고 하면 토리노카라아게(とりの唐揚げ), 즉 [[닭고기]] 카라아게를 가리킨다. 일본식 순살 [[프라이드 치킨]]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재료로 할 경우에는 타코노카라아게(タコの唐揚げ, [[문어]] 카라아게)와 같은 식으로 재료 이름이 앞에 붙는다. [[닭고기]]로 만들어도 살코기가 아니라 [[연골]]로 만든 것이라면 軟骨のから揚げ(탄코츠노카라아게)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の'(노)를 빼고 토리카라아게, 타코카라아게 같은 식으로 부른다. [[부산]]의 몇몇 [[이자카야]]에서는 [[닭껍질]] 카라아게도 판다. 가격에 비해서 양이 푸짐한데... 어디까지나 볼 때만 그런 거다. [[닭껍질]]에 [[튀김가루]]를 입혀서 튀겼다고 가정해 보라. 값싼 [[호프집]]에서 볼 수 있는 어포 튀김처럼 얇고 넓을 것이다. 양은 많은 것 같지만 막상 먹어보면 그냥 [[튀김옷]] 맛 같기도 하고, 담이 놓은 건 많아 보이는데 실제 양은 그렇게 많지 않아서 빨리 없어진다. [[이자카야]]의 인기 메뉴이기도 하고, [[일본]]의 점심 정식으로도 인기 있는 요리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좋다. [[일본]]식 닭[[튀김]], [[일본]]식 [[프라이드 치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의 [[프라이드 치킨]], 특히 [[순살치킨]]과 여러 모로 닮은 구석이 많기 때문에 친숙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자세히 들어가 보면 차이점도 많다. 먼저 [[프라이드 치킨]]은 [[튀김옷]]을 살짝만 묻혀서 미리 한 번 튀겨 놓은 다음 주문이 들어오면 [[튀김옷]]을 <del>[[닭고기]] 맛이 파묻힐 만큼 두툼하게</del> 묻혀서 2차로 튀겨내는데, 카라아게는 그런 거 없고 주문 들어올 때 한 번에 튀겨낸다. [[튀김옷]]이 얇은 편이고 크기도 [[순살치킨]]보다는 작은 한입 크기가 보통이다. 튀김옷의 간이 대체로 짠 편인 것도 차이가 있다. [[프라이드 치킨]]은 그냥 먹거나 [[양념치킨 소스]]에 찍어먹는 게 보통인데, 카라아게도 소스가 없거나 가벼운 [[폰즈]] 소스 정도가 나오는 게 보통이다. [[일본]]에서 먹어 보면 엄청 짜다. [[일본]]에서 먹는 [[일본음식]]이 대체로 우리 입맛에는 간이 짠 편이지만 카라아게는 정말 짜서 못 먹는 한국인들도 은근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에서 만든 카라아게 프리믹스를 썼다면 짜다. <del>[[맥주]]가 쭉쭉 넘어간다.</del> 다만 염분의 양을 비교해 보면 카라아게가 [[프라이드 치킨]]보다 월등히 많거나 그렇지는 않다. 카라아게는 [[염지]]를 굳이 하지 않는 반면 [[프라이드 치킨]]은 [[염지]]를 하기 때문. 즉, 카라아게는 [[튀김옷]] 부분이 엄청 짜지만 [[프라이드 치킨]]은 [[닭고기]] 안쪽까지 염분이 깔려 있다. 반대로 일본인들은 한국에서 파는 카라아게를 먹으면서 뭐 이렇게 싱거워? 하고 투덜대곤 한다. [[튀김]]이라고 하면 흔히 바삭바삭함을 최고로 치지만 카라아게는 좀 다르다. 정말 잘 만든 토리카라아게는 굉장히 부드럽다. 겉에 살짝 묻힌 [[튀김옷]]은 바삭한 느낌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육즙]]이 충분한 [[닭고기]]로 타이밍을 잘 맞춰서 조리했다면 [[튀김]]이 이렇게 부드럽나? 싶을 정도. ==지역별 차이== [[파일:Tatsudaage.jpg|500px|없음]] [[큐슈]]에는 타츠다아게(たつだあげ, 竜田あげ)라는 음식이 있는데, 카라아게와 비슷하지만 [[밀가루]]와 [[녹말]]을 섞어서 사용하는 게 보통인 카라아게와는 달리 [[녹말]]만을 사용해서 얇게 입히기 때문에 [[튀김옷]]이 바삭하기보다는 부드러운 맛을 내는 게 정석이고, 조미료에 특별한 제한이 없는 카라아게와는 달리 [[간장]]과 [[미림]]을 주 재료로 밑간을 한 다음 튀겨낸다. [[홋카이도]] 쪽에서는 카라아게를 잔기(ザンギ)라고 부른다. 카라아게와 잔기가 같은 거냐 아니냐를 두고 [[일본]] 안에서도 말이 많이 오가는 편인데, 우리나라도 같은 [[프라이드 치킨]]도 지역이나 브랜드마다 맛이 조금씩 다른 느낌이 있는 것처럼 그런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체로 그게 그걸로 보는 분위기다. 보통은 고기를 [[간장]]과 [[마늘]]로 밑간을 한 다음 [[녹말]]과 [[밀가루]]를 섞은 [[튀김옷]]을 묻혀 튀겨낸다. [[닭고기]] 말고도 다른 종류의 [[고기]] 또는 해산물로도 튀긴다. 예를 들어 [[문어]] 잔기는 [[삿포로]] 일대의 [[이자카야]] 메뉴에서 꽤 쉽게 볼 수 있다. 물론 카라아게와 마찬가지로 그냥 잔기라고 하면 [[닭고기]]다. 카라아게를 응용한 요리로는 우리나라에도 꽤 알려져 있는 치킨남방(チキン南蛮)이 대표 격이다. 카라아게를 [[식초]]와 [[설탕]]을 주원료로 하는 소스에 적신 것인데, [[타르타르 소스]]와 함께 나온다. [[큐슈]] [[오이타현]]에는 [[토리텐]]이라는 닭[[튀김]] 요리가 있다. 카라아게와는 몇 가지 분명한 차이점이 있어서 카라아게의 일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자세한 것은 [[토리텐]] 항목 참조. [[Category:일본음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카라아게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