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육사시미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육사시미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날고기를 [[회]]처럼 썰어서 [[간장]] 또는 [[참기름]]에 찍어먹는 것. 육사시미가 '회'라는 개념에는 더 가까운데 이미 [[육회]]라는 요리는 달달한 양념과 배를 넣는다는 개념이 굳어져 있기 때문에 육사시미로 부르게 된 것. 문제는 [[사시미]]가 [[일본어]]다 보니 표준어를 써야 하는 방송이나 공식 문서에는 어떻게 써야 할 것인가가 난감한 문제가 된다. 실제로 1박 2일이 '육사시미'란 말을 그냥 내보냈다가 시청자들의 거센 항의를 받고 사과한 일도 있었다. 문제는 딱히 쓸 우리말이 없다는 것. [[육회]]를 '무침육회'라든가 다른 이름으로 바꾸면 좋은데 오랫동안 [[육회]]라는 이름으로 굳어져 온 걸 이제 와서 바꾸는 것도 힘든 노릇이다. 육사시미도 이미 대중들에게 널리 쓰여서 상당 기간 굳어져 왔기 때문에 [[육회]]와 마찬가지로 억지로 바꾼다고 바뀌도 힘든 일. 그래서 육사사미는 [[표준어]]도 못 되고 그렇다고 바꾸지도 못하는 어중간한 처지가 되어버렸다. <del>그럼 [[우동]]이나 [[짬뽕]]은 어떻게 그냥 쓰는겨? 육사시미를 [[일본음식]]으로 정의해 버리면 문제 해결인가?</del> 국립국어원조차도 뾰족한 대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라도에 가면 '생고기'로 부르지만 이건 또 전라도 바깥으로 나가면 그냥 식재료로 날고기를 뜻하는지라 생고기로 대체하기도 모호하다. [[육회]]와 비슷해서 기름기가 적은 부위들이 선호된다. [[육회]]는 양념에 버무려서 내지만 육사시미는 날고기 그대로 내놓고 [[기름장]]이나 [[간장]]<ref>한국은 [[기름장]], [[일본]]은 [[간장]]을 선호한다.</ref>에 찍어 먹는 식이라서 고기의 신선도가 [[육회]]보다도 더 중요하다. 주로 [[소고기]]지만 [[제주도]]에 가면 [[말고기]] 육사시미도 있다. [[전라도]] 일부 지역은 [[닭가슴살]]도 육사시미로 먹는다. '[[닭고기]]를 날로 먹어?' 하고 꺼림칙할 수 있지만 신선한 [[닭고기]]로 만든 것을 먹어보면 의외로 부드럽고 맛이 괜찮다. [[일본]] 역시 [[말고기]]와 [[닭고기]]를 [[사시미]]로 먹으며 한국보다도 좀 더 대중화 되어 있다. [[큐슈]]의 [[쿠마모토현]] 쪽은 [[말고기]] 요리가 발달했는데 [[사시미]]인 바사시(馬刺し)로도 먹고 [[니기리즈시]]로도 만들기도 한다. [[쿠마모토]]만이 아니라 [[일본]] 전역으로 퍼져서, 체인점 [[이자카야]] 가운데 바사시를 파는 곳이 은근히 많다. [[소고기]]를 역시 [[니기리즈시]]도 내놓는 가게들도 있다. [[일본]]의 [[야키토리]] 전문점 가운데에도 [[닭가슴살]]이나 안심을 [[사시미]]로 파는 곳도 있다. 볼 때는 꺼림칙한데 막상 먹어보면 의외로 식감이 부드럽고 살짝 사각사각한 느낌도 있어서 감칠맛이 장난 아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육사시미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