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IMF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IMF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IMF는 다음과 같은 고유명사의 약자다. ==International Monetary Fund== [[브레튼우즈협정]]으로 탄생한 국제 금융기구인 [[국제통화기금]]의 준말. <del>왠지 모르게 우리에게는 친숙하면서도 기분 나쁜 이름이다.</del> 환율과 국제 수지를 감시함으로써 국제 금융 체계를 감독하는 것을 위임받은 국제 기구다. 회원국의 요청이 있을 때는 기술 및 금융 지원을 직접 제공한다.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 바로 금융 지원. 특히 우리에게는 [[구제금융]]으로 잘 알려져 있다. 왜? 1997년 김영삼정부 말기에 터진 외환위기 때 [[구제금융]]을 지원하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와 사회 체제는 엄청난 변화를 겪어야 했다. 당시 외환위기 직전 상황을 소재로 한<ref>다만 픽션이라 실제와는 다른 부분도 꽤 있다는 건 염두에 두자.</ref> <영화 국가부도의 날>이 그러한 모습을 그리고 있다. 자세한 것은 [[국제통화기금|해당 항목]] 참조. ==Impossible Mission Force== '불가능한 작전군'이라는 뜻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서 주인공 [[이단 헌트]]([[톰 크루즈]] 분)가 소속되어 있는 가상의 첩보 기관, 물론 실제로는 이런 조직은 없고 <del>그런데 뭔가 이런 게 있을 거야... 하고 믿는 사람들은 꽤 많다.</del> 게다가 그야말로 콩가루 조직이다. 뭔가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 때는 1, 2편 정도이고 3편에서는 [[이단 헌트]]의 든든한 빽인 줄 알았던 조직 2인자께서 [[테러리스트]] 대빵과 한통속이질 않나, 4편 고스트 프로토콜에서는 조직이 한때 아예 해체돼서 유령(고스트)이 되어 버리기도 한다. <del>[[브루스 윌리스]]에 이어 [[톰 크루즈]]도 유령이었어.</del> 실제 존재하는 첩보기관인 [[CIA]]와는 알력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나온다. 심지어 시리즈 5탄인 로그 네이션에서는 [[CIA]] 국장이 대놓고 IMF가 너무 사고만 치고 다닌다고 까대면서 <del>저쪽 IMF는 [[구제금융]]인데 이쪽 IMF는 구제불능이란 말입니다!</del> 결국 IMF를 또 해체하고 [[CIA]]가 소속 요원들을 접수한다. [[영국]] 수상 관저에서 [[이단 헌트]]의 작전으로 약에 취한 상태에서 [[MI6]]국장 애틀리의 음모를 알게 되고 나서는 IMF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는 쪽으로 생각이 바뀌고 아예 IMF 국장으로 부임하다. <del>물론 그 다음에는 또 CIA한테 탈탈 털린다.</del> 아무튼 이렇게 코너에 몰렸다가 불사조처럼 살아나는 게 요즈음 미션 임파서블의 클리셰이다시피 하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IMF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