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소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소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국수]]의 일종. 한자로는 素麵이라고 쓴다. 小麵이 아니다! 조금 굵은 '중면'이라는 게 있기 때문에 가느다란 [[국수]]를 소면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가느다란 국수는 세면(細麵)이지 소면이 아니다. 素는 희다, 수수하다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소복 입은 귀신'의 '소복'에 이 한자가 들어가며 '소박하다'에도 들어간다. 음식에 쓰일 때는 대체로 [[고기]]가 안 들어간 수수한 음식을 뜻하므로, 소면은 [[고기]]를 쓰지 않은 담백한 [[국수]], 혹은 [[밀가루]]로 만든 희고 수수한 [[국수]]를 뜻하는 셈. 제품 이름에 쓰일 때는 밀가루로 만든 가느다란 건면을 뜻한다. 그밖에도 굵기에 따라 중면이나 세면이 있는데 면을 뽑는 노즐의 굵기만 다를 뿐 제조 방법은 똑같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에는 밀이 쌀보다 귀했기 때문에 소면 역시 잔칫날 같은 특별한 때에나 먹는 음식이었다. 우리나라에서 관련 기록이 나오는 문헌은 1809년 빙허각 이씨가 지은 음식책인 <규합총서閨閤叢書> 병과류인데 여기에 '왜면'으로 소개한 것으로 보면 일본에서 건너온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ref>[http://webzine.nfm.go.kr/2019/07/11/%EA%B5%AD%EB%A6%BD%EB%AF%BC%EC%86%8D%EB%B0%95%EB%AC%BC%EA%B4%80-%EC%86%8C%EC%9E%A5%ED%92%88%EC%9C%BC%EB%A1%9C-%EB%B3%B8-%EA%B5%AD%EC%88%98-%EC%9D%B4%EC%95%BC%EA%B8%B0/ "국립민속박물관 소장품으로 본 국수 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 웹진, 2019년 7월 11일.</ref> 한국전쟁 이후 미국 원조를 통해 [[밀가루]]가 엄청나게 들어오면서 서민들의 음식으로 지위가 확 달라졌고 제면공장이 우후죽순처럼 생기면서 값싸게 끼니를 때울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 받았다. 보통은 [[멸치육수]]를 내서 따뜻하게 말아서 먹거나, 매운 양념을 넣어서 [[비빔국수]]로 먹는다. {{각주}} [[Category:국수]]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소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