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공항 라운지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공항 라운지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공항 이용객을 위해 휴게 및 식음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국제선의 경유 항공사에서는 항공기 출발 2시간 전애는 공항에 도착할 것을 권한다. 그런데 체크인이나 조안검색, 출국수속이 문제 없이 빨리 끝나먄 시간이 많이 뜬다. 또한 환승을 할 경우 다음 비행기를 몇 시간씩 기다려야 하는 일이 많다.물론 공항 안에는 여러 음식점이 있지만 다 돈이다. 그리고 비싸다... 이럴 때 라운지에 들어갈 수 있다면 그야말로 오아시스. 풀 서비스 항공사는 물론 일부 [[저가항공사]]도 손님을 위해 자사의 허브 공항에 라운지를 운영하는데, 그곳이 출발지든 환승지든 자사의 비행기를 타려는 손님이 편하게 기다릴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자사 이용객 말고도 소속 항공동맹체, 파트너십을 체결한 항공사의 이용객도 받는다. 단 아무나 받는 건 아니고 [[비즈니스 클래스]] 이상을 이용하거나 상용고객 우대제도에 따라 입장 자격을 가진 등금의 회원이 이용할 수 있다. 일부 항공사는 [[프리미엄 이코노미 클래스]] 이용객도 받는다. 탑승 클래스에 따른 입장은 본인 한정이고 우수회원은 보통 동반 1인까지 무료. 그 이상 동반은 돈이나 마일리지로 결제한다. 항공사 말고도 신용카드사, 은행 같은 금융기관이나 면세점, 백화점애서 자사의 우수고객들을 위해 라운지를 운영하기도 하며<ref>또는 자사의 우수회원에게 계약 라운지에 무료 입장할 수 있는 혜택을 주기도 한다.</ref> 아예 누구나 돈만 내면 들어갈 수 있는 유료 라운지도 있다. 또한 라운지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회원제 서비스인 [[Prioty Pass]], 줄여서 PP라는 것도 있다. 제휴 신용카드를 이용하면 전 세계 공항의 PP 계약 라운지를 무료 이용할 수 있어서 인기가 많다. 그 때문에 PP를 받는 항공사 라운지의 우수회원 고객들은 비즈니스 라운지가 도떼기 시장이 됐다면서 불만스러워 한다. 기본적인 서비스는 편하게 쉴 수 있는 의자와 식음료 서비스다. 항공사에 따라서, 공항에 따라서 추가로 안마의자, 샤워실 같은 서비스가 추가 재공되며 업무를 볼 수 있도록 전원 및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공용 컴퓨터 및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곳도 있다. 항공사 라운지의 경우 비즈니스와 퍼스트 두 가지 클래스로 나눠서 운영하기도 한다. 물론 시설과 식음료 수준에 차이가 있으먀 아무래도 퍼스트 쪽이 덜 붐빈다. 국제선과 국내선은 서비스에 차이가 있으며, 국제선은 [[뷔페]]식 음식에 여러 가지 주류와 음료를 제공하는 반면 국내선은 대체로 간단한 스낵과 비알코올 음료, 잘해야 이에 더해서 [[맥주]]나 [[와인]] 한두 가지를 제공하는 선에 그친다. 항공사로서는 국제선이 수익이 더 좋고 대기 시간도 길기 때문에 국제선 라운지의 시설이나 서비스가 더 좋게 마련이다. 국제선 라운지는 환승 승객도 받아야 하므로 보통 출국장 보세구역 안에 있다. [[김포국제공항]]에는 국제선 라운지가 보세구역 바깥에 있었지만 2019에 리모델링이 완료됨에 따라 안쪽으로 옮겨갔다. 몇몇 항공사는 도착 승객을 위한 라운지를 운영하기도 한다. 도착해서 피곤한 승객들에 잠시 휴식하면서 교통편을 기다릴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우리나라 항공사들은 아직 도착 라운지를 운영하는 곳은 없으며 미국이나 유럽의 일부 항공사에서 운영한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공항 라운지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