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서일본철도주식회사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서일본철도주식회사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西日本鉄道。 일본어로 읽으면 '니시니혼테츠도'가 된다. 보통은 '니시테츠'(西鉄)라는 약칭으로 부른다. [[서일본여객철도]]라는 회사도 있는데 여기는 [[JR니시니혼]]을 뜻하는 것이므로 전혀 다른 회사이고 지역도 다르다.<ref>참고로 [[JR큐슈]]의 정식 이름은 [[큐슈여객철도]].</ref> [[큐슈]] 중에서도 [[후쿠오카현]]을 중심으로 주로 북큐수 지역에서 영업하고 있는 대형 사철 회사. [[후쿠오카시]] 최대 번화가인 텐진에 [[크고 아름다운]] [[후쿠오카역]]<ref>정식 이름은 [[니시테츠후쿠오카(텐진)역]]. 참고로 [[JR큐슈]]에서 운영하는 [[후쿠오카시]]의 중심역은 [[하카타역]]이다.</ref> 및 복합 상업시설을 지어 놓았다. 텐진 지역이 원래가 니시테츠에서 작정하고 개발한 곳이다. [[쿠루메]]나 [[다자이후]]를 갈 때에는 [[JR]]보다 니시테츠가 진리인데, 둘 다 역의 접근성이 [[JR]]보다 니시테츠 쪽이 확실히 좋기 때문이다. [[JR]] 쿠루메역은 [[신칸센]] 정차역이지만 역 주변은 썰렁하기 이를데 없다. 반면 니시테츠 쿠루메역은 도시 자체가 작아서 [[후쿠오카]] 텐진 같은 분위기는 아니지만 그래도 중심가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주위 모습이 훨씬 번화가답다. 다만 관광객들이 [[쿠루메]]를 갈 일은 별로 없어서... [[다자이후]]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텐만구나 큐슈국립박물관 같은 곳들의 접근성이 니시테츠 쪽이 훨씬 좋다. 철도 말고도 버스 영업도 하고 있으며 [[큐슈]] 지역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오히려 버스가 주고 철도는 부업이라고 할 정도다. 일단 [[후쿠오카시]]의 시내버스는 여기가 거의 독점으로 꽉 잡고 있고 [[큐슈]] 제2의 도시인 [[키타큐슈시]]에서도 시영버스와 함께 시내버스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그밖에도 중단거리 버스 영업도 열심히 하고 있으며, [[후쿠오카역]]과 같은 건물에 버스 터미널이 있다.<ref>[[하카타역]] 옆에 있는 교통센터 버스 터미널도 이용하고 있다. 중장거리 버스 중에 둘 다 정차하는 버스도 많다.</ref> [[후쿠오카]]에서 [[도쿄]]까지 가는 [[일본]] 최장거리 정기 노선버스 하카타호도 운행하고 있다. 니시테츠는 버스가 주력이고 철도는 부업이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한때는 철도보다 버스에서 수익이 더 많이 나올 정도였지만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버스 쪽이 적자가 나면 철도 수익으로 메우는 식으로 수익의 안정성이 좀 불안정하다. 충전식 [[교통카드]]인 [[nimoca]](니모카)를 판매하고 있다. [[큐슈]] 지역의 다른 [[교통카드]]인 [[스고카]]나 [[하야카켄]]처럼 전국 호환되며, [[일본]]에 주소가 있다면 기명식으로 등록해서 니시테츠 철도나 버스를 이용했을 때 포인트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텐진에 있는 솔라리아 플라자와 같이 니시테츠에서 운영하는 백화점이나 쇼핑센터라면 니모카 포인트를 적립하거나 쓸 수도 있다. 다만 일본에 주소가 있어야만 기명식으로 발급 받고 포인트 적립도 할 수 있으므로 외국인들에게는 그림의 떡. 큐슈 여러 도시에서 버스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쿠마모토시]], [[키타큐슈시]]와 같은 곳은 각 시 버전의 [[니모카]] 카드를 발행하고 있으며, 좀 뜬금 없지만 저 멀리 [[홋카이도]]의 [[하코다테]]에서도 그쪽 버전의 [[니모카]] 카드를 쓴다. [[니모카]] 카드는 전국 호환이므로 이들 도시에서도 호환 가능한 다른 교통카드를 쓸 수 있으며, 지역 버전 [[니모카]] 카드 역시 전국 호환이다. 철도 패스로는 1일 자유권 정도가 전부다. 대신 버스 패스로는 산큐패스(SUNQ Pass)가 유명하다. [[큐슈]] 전 지역은 물론 큐슈와 붙어 있는 혼슈의 [[시모노세키]]까지 커버하며 니시테츠 소속 시내 및 시외버스를 자유롭게 탈 수 있다. 굳이 철도 여행을 원하지 않는다면 가성비로는 [[JR큐슈]]의 철도 패스보다는 이쪽이 저렴하고, [[신칸센]]을 제외하고는 노선의 선형이 그리 좋지 않고 단선인 곳도 많아서 철도가 시간 면에서 이득이 크지 않다. 패스는 다음 두 가지가 있다. * 전큐슈 패스 : [[큐슈]] 전 지역과 [[시모노세키]]에서 이용할 수 있다. 가격은 3일간 10,000엔, 4일간 14,000엔이다. * 북큐슈 패스 : [[큐슈]] 북부 지역인 [[후쿠오카]], [[사가]], [[나가사키]], [[오이타]], [[쿠마모토]], 그리고 [[시모노세키]]에서 이용할 수 있다. 3일간 6,000엔이다. 니시테츠 소속 버스라고 해도 이 구역을 벗어나는 노선은 이용할 수 없다. 버스 타는 쪽 문에 어떤 패스가 이용 가능한지 스티커가 붙어 있으므로 참조하자. 여행 가기 전에 미리 한국 내 여행사를 통해서 사도 되고, 큐슈와 시모노세키에서도 살 수 있다. 일본 내 구입 장소에 대해서는 [https://www.sunqpass.jp/hangeul/use/index2.html 여기]를 참조하자. 특히 북큐슈 패스는 3일간 6천 엔이면 자유롭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어서 저렴한 여행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다. 사실 3, 4일 정도로 [[큐슈]] 전역을 여행하는 건 너무 무리라서... 솔라리아<ref>니시테츠의 브랜드로 쇼핑, 호텔을 비롯한 니시테츠의 여러 사업에서 쓰고 있다.</ref> 호텔 및 니시테츠 인(INN)과 같은 호텔 체인도 가지고 있는데, 한국에도 서울 명동과 부산 서면에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을 운영하고 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서일본철도주식회사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