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카베르네 소비뇽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카베르네 소비뇽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Cabernet Sauvignon. 적포도주 일종. 그리고 이 품종으로 만드는 레드 와인을 뜻하기도 한다. 레드 와인 원료으로는 가장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는 품종으로서 프랑스 보르도 지방에서는 생떼밀리옹이나 포므롤 정도를 제외하고는 카베르네 쇼비뇽이 메인 품종이며, [[이탈리아]], [[스페인]]을 비롯한 주요 원인 증상 곡에서도 대부분 이 품종을 재배한다. [[이탈리아]]의 토스카나 지방은 고유 품종인 산죠베세를 주종으로 히는 [[와인]]이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지만 카베르네 소비뇽을 비롯한 보르도 품종을 이용한 [[수페르 토스카나]]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신대륙은 그야말로 카베르네 소비뇽 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 [[칠레]], [[호주]]를 비롯한 신대륙 주요 와인 생산국에서 상당한 존재감을 차지하고 있다. 단, [[호주]]에서는 [[쉬라즈]]의 존재감이 가장 크며, [[뉴질랜드]]에서는 [[피노 누와]]나 [[쉬라즈]], [[메를로]]에게 밀려서 좀 마이너하다. 남미의 [[아르헨티나]]는 [[말벡]]이 뒤덮고 있어서 카베르네 소비뇽의 입지가 별로 없다. [[와인]]을 처음으로 만나는 사람들은 대부분은 카베르네 소비뇽으로 시작해서 어느 정도 맛을 들이면 취향에 따라서 다른 스타일로 뻗쳐 나간다. 높은 인지도만큼 세계적으로 경작 면적도 제일 높다. 1990년대에는 [[메를로]]에게 추월당한 적도 있었지만 2010년대에 와서는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와인계에서 차지하는 엄청난 존재감에 비해 품종이 개발된 것은 그렇게 오래 되지는 않았다. 17세기에 프랑스 남서부 쪽에서 [[카베르네 프랑]]과 [[소비뇽 블랑]]의 교배를 통해 만들어진 품종으로, 카베르네 소비뇽이라는 이름도 두 품종에서 하나씩 따온 것이다. 껍질이 두껍고 병충해에도 강한 편이라 농사짓기 쉽다는 것도 이 품종이 널리 퍼진 중요한 이유다. 특히 신대륙으로 건너가서도 낯선 환경 조건에서도 잘 자라 줬기 때문에 특히 아메리카 대륙에서 빠르게 자리를 잡았다. 다만 생장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따뜻한 기후를 좋아한다. 온도나 일조량, 토질과 같은 조건이 웬만큼 딱 맞아떨어지지 않으면 과일이 완전히 익을 때까지 키우기가 까다롭다. 이 품종으로 만든 [[와인]]은 묵직한 무게감, 블랙커런트를 중심으로 한 끈적하고 농축된 과일향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와인]]을 이야기할 때 일단 바디감부터 따지고 들어가는데 사람들이 꽤 많은데, 바디감으로 말하자면 이만한 놈도 별로 없다. [[타닌]]도 풍부하기 때문에 보존성도 좋다. 익은 정도에 따라서 향과 맛에 차이가 나는 특성이 있어서 이를 이용해서 포도나무마다 수확 시기를 달리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와이너리도 있다. 그러나 유럽 쪽은 이 품종만 100% 써서 만들기보다는 [[메를로]], [[카베르네 프랑]]을 비롯한 여러 품종을 블렌딩해서 만드는 경우가 많다. 반면 신대륙 쪽은 100% 이 품종만 가지고 만드는 곳도 있다. [[Category:포도]] [[Category:와인]]
카베르네 소비뇽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