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말오줌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말오줌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iased}} <del>말 그대로 말의 오줌이란 말이다.</del> ... 이렇게 얘기하면 좀 그렇고. 사실 말의 오줌에 관심 가지는 사람은 경마장/승마장이나 말 농장에서 말 관리하는 사람들 말고는 별로 없을 것이다. [[오줌]]은 동물의 건강을 판단하는 중요한 징후 중 하나이기 때문. 보통 말오줌이라고 하면 마시는 것을 뜻한다... 말오줌에는 사람의 기분을 괜히 좋게 하는 마약 성분인 말리화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사람은 말오줌을 마신다. 특히 한국은 정말 많이 마신다. ==<del>맥주의 일종</del>== 맛없는 [[맥주]]를 뜻한다. 왜 하고 많은 동물의 [[오줌]] 중에서 말오줌인지는 의문이다. <del>직접 먹어봤더니 [[맥주]]랑 비슷해서 내린 결론일까?</del> 색깔이 꽤 비슷한 것은 사실이고, 특히 당뇨가 좀 있으면 <del>말이 설마 그럴리가</del> 거품도 부글부글해서 정말 [[맥주]]스럽게 보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하필 '말' 오줌인지는 불확실하다. [[영어]]에서도 horse piss 라고 하면 맛없는 싸구려 [[맥주]]를 뜻한다. [[어반딕셔너리]]에 따르면 [[버드와이저]], 내티, 키스톤, [[밀러]] 라이트, [[쿠어스]] 라이트가 여기에 속한다. <ref>[http://www.urbandictionary.com/define.php?term=horse+piss "horse piss"], http://www.urbandictionary.com/</ref> <del>한국이라면... 국산 맥주 전부다. 일단 앞의 미국 맥주보다 딱히 맛있는 것도 없잖아.</del> 말오줌의 특징은 대략 이렇다. * [[맥아]] 말고 잡곡을 많이 사용한다. [[옥수수]], [[쌀]] <del>[[맥주]]나라에서는 [[쌀]]이 잡곡이다.</del> 같은 것들이 쓰이고 아예 [[전분]]이나 당분시럽이 쓰이기도 한다. * 농도가 옅다. [[맥아]]만 썼는데도 말오줌이라면 맥즙의 농도가 옅은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말오줌 [[맥주]]가 있다. 정확히 말하면, 진짜 말오줌으로 만든 것은 아니고 [[맥주]] 이름이 말오줌이다. [[미국]] 켄터키주의 블루그래스브루어링주식회사<ref>웹사이트 주소가 http://www.bbcbrew.com/ 이다. <del>네? [[BBC]]에서 [[맥주]]도 만들어요? 하긴 [[영국]]이라면 뭐...</del></ref>에서 만드는 호스피스비어(Horse Piss Beer)가 바로 그것. 말오줌의 이름에 충실하게 만들어서 그런지 [[맥주]] 사이트의 리뷰를 봐도 평점이 최저급이다. [http://www.beeradvocate.com/beer/profile/395/29204/ BeerAdvocate.com의 리뷰]를 보면 "이름 한번 [[맥주]]에 어울리게 잘 지었네!" 하는 반응들이 줄줄이 나온다. <del>왠지 이름부터 지어놓고 일부러 이름에 맞게 만든 것 같다.</del> [[유럽]]인들의 눈으로 본다면 [[미국]]이나 [[일본]], [[한국]] [[맥주]]의 상당수가 말오줌스럽다. 이들 대량생산 [[맥주]]들은 아메리칸 라거가 [[일본]]으로 건너오고,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인들이 [[맥주]] 공장을 한국에 세우면서 역시 일본의 맥주가 건너 오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아메리칸 라거]]의 다운그레이드판이다 보니 대부분 잡곡을 사용하고 있는 데다가 맛이 밍밍하다. 하지만 [[유럽]]이라고 해서 무조건 [[맥아]]만 쓰는 것은 아니라서 몇몇 [[맥주]]에는 [[옥수수]]나 잡곡, [[녹말]], 시럽이 쓰이는 것을 성분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맥주]]의 맛을 보면 우리의 말오줌과는 거리가 있다. 아마도 함량의 차이 또는 농도의 차이라고 봐야 할 듯. [[유럽]] 사람들은 한국 말오줌의 향미가 "too artificial"(너무 인공적이다)이라는 말을 종종 한다. 특히 영국 <이코노미스트> 특파원이었던 다니엘 튜더가 "한국 맥주는 북한 [[대동강맥주]]보다도 맛이 없다"고 직격탄을 날리면서<ref>그런데 [[대동강맥주]]는 사실 상당히 괜찮은 [[맥주]]다. 김정일이 제대로 된 [[맥주]] 한번 만들어 보자고 [[독일]]의 문닫은 맥주공장의 시설을 통째로 가져다가 공장을 세웠고, 설립에 김정일이 직접 관여한만큼 재료나 제조에도 공을 많이 들인다. 외국 손님 대접할 때에도 쓰이니 당연히 좋을 수밖에 없다.</ref> 정말 한국 [[맥주]]는 맛이 없는 건가에 관한 논쟁에 불을 제대로 붙였다. 참고로 다니엘 튜더는 이후에 '대<del>동</del>강에일'<ref>원래 대동강 에일이었는데 2017년에 갑자기 관계 당국에서 소비자들이 '대동강에서 만든 [[맥주]]로 오해할 수 있다'고 시비를 걸기 시작하는 바람에, '동'자를 지워서 졸지에 '대강맥주'가 되어 버렸다. <del>이거 뭐 한국의 성인들을 초딩으로 보는 것도 아니고.</del></ref>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북한에서 만든 것은 아니고, 이름만 그렇게 붙인 것. 한국 [[맥주]]가 맛 없는 이유로 원료 문제만이 아니라 관리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맥주]]는 상할 수 있는 술이고 시간이 갈수록 신선도가 떨어져서 맛도 떨어진다. 따라서 운송이나 보관을 낮은 온도에서 할수록 좋은데, [[한국]]에서 [[맥주]]가 유통되는 걸 보면 한여름에도 냉장차 따위 없고 일반 화물차로 운송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의 취향에도 좀 문제는 있는데, [[맥주]]는 무조건 차갑게 마셔야 한다는 사람들이 많고 그 차가운 정도도 아주 얼얼할 정도로 차가워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도 많다. 그런데 [[맥주]]가 너무 차면 우리의 감각기관은 향이나 맛을 잘 못 느낀다. [[맥주]] 회사로서는 향미에 큰 신경을 쓸 필요가 없고 그냥 차갑게 죽죽 잘 넘어가는 [[맥주]]만 만들어도 사람들에게 환영 받는다는 얘기가 된다. 즉, '사람들이 좋아하는 스타일로 [[맥주]]를 만드는 것일 뿐'이라는 한국 [[맥주]] 회사의 항변이 꼭 틀린 것만은 아니다. 다만 이렇게 된 데에는 [[맥주]] 회사들이 사람들 입맛을 그렇게 길들여 온 탓이 크다. [[파일:Yi hwancheon poem beer.jpg|섬네일|없음]] [[맥주]] 자체로는 맛이 별로지만 [[소맥]] 원료로는 인기가 높다. [[소맥]]을 만들 때는 [[맥주]] 자체의 개성이 강하면 곤란하고, 그냥 쭉쭉 넘기기 쉽고 빨리 취하는 게 [[소맥]]의 진정한 목적이니 뭐. ==맛없는 게 아니다?== 하지만 항상 한국의 [[맥주]] 회사들은 자기들 맥주가 절대 맛 없는 게 아니라고 항변한다. 단지 사람들이 가진 선입견이 문제라고 주장한다. 한국 [[맥주]]와 수입 [[맥주]]를 블라인드 테스트 해 보면 한국 [[맥주]]를 더 맛있다고 응답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식의 연구 결과도 가끔 등장한다. 하지만 몇 종 안 되는 [[한국]] [[맥주]]와 우리 나라에 들어오는 것만 해도 수백 수천 가지나 되는 수입 [[맥주]]를 어떻게 단순 비교한단 말인가? 같은 수입 [[맥주]]만 해도 [[라거]]와 [[에일]]은 하늘과 땅차이고 같은 [[라거]], 같은 [[에일]]도 어마어마하게 많은 종류로 갈라진다. 예를 들어 같은 [[라거]] 계열이라고 해도 [[체코]]의 [[필스너우르켈]]과 [[일본]]의 [[아사히슈퍼드라이]]는 어마어마하게 맛의 차이가 크다. 2017년에 다시 논란에 불을 붙인 것은 고든 램지가 [[카스]] 광고에 등장하면서다. 세계 최고의 셰프 중 한 명으로 꼽히는 고든 램지가 한국 말오줌의 대표 주자를 광고하다니, 그야말로 충공깽. 이후 한국을 방문해서 기자회견 자리에서도 [[카스]]를 칭찬하는 한편 '이런 [[맥주]]가 맛없다는 녀석의 엉덩이를 걷어차주겠다'는 발언까지 하면서 <del>다니엘 튜더 현피 신청?</del> 네티즌들은 "고든 램지도 돈 앞에서는 별 수 없구나", "요리는 최고지만 [[맥주]] 맛은 모르는구나."와 같은 반응이 나오는 반면, 기다렸다는 듯이 한국 [[맥주]] 맛 없다는 사람들을 겉멋 든 [[맥주]] 사대주의자인들인 양 까는 기사들도 줄줄이 나오고 있다. 일단 고든 램지는 사실 [[아메리칸 라거]]와 같은 묽은 계열의 [[맥주]]를 좋아한다. 실제로 [[벡스]]나 미국산 버드와이저<ref>원래 체코에 부드바이서(Budweisser)라는 [[맥주]]가 있다. 둘 다 부드바이스라는 [[체코]] 지역의 이름에서 따온 것.</ref>만 마신다고 할 정도. [[벡스]]는 독일 [[맥주]]이긴 하지만 독일 [[맥주]] 마니아들한테는 맛이 묽다고 까이는 [[맥주]]고 [[독일]]보다 [[영국]]이나 [[미국]]에서 더 잘 팔린다. 아무튼 원래 묽은 [[맥주]]를 좋아하는 스타일이었기 때문에 그런 입맛에 [[카스]]가 좋게 느껴지는 것도 이상한 건 아니다. 그렇다면 왜 고든 램지는 이런 [[맥주]]를 좋아하는가... 를 추측해 보면, 사실 [[유럽]]의 [[펍]]에서 마시는 [[맥주]]들은 대체로 [[술]] 그 자체를 즐기기 위해서 마신다. [[안주]]를 아예 안 먹거나, 먹어도 간단한 스낵 정도를 곁들여 먹는 것에 불과하다. 아니면 아예 반대로 기름 범벅에 맛이 강한 [[펍 푸드]]랑 마시든지... 그런데 상대적으로 기름도 적게 쓰고 향신료도 적게 쓰는 편인 한국음식과 같이 마신다면 오히려 묽은 [[맥주]]가 나을 수 있다. [[유럽]]의 맛이 강한 [[맥주]]는 오히려 입 안을 너무 지배해서 음식 맛을 방해할 수 있다. [[일본]]에서 [[드라이 맥주]]가 주류가 된 것도 역시 맛이 옅은 [[일본음식]]과 같이 마시기에는 맛이 묽은 [[맥주]]가 더 낫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데 사실, 꼭 고든 램지가 아니더라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의외로 한국 [[맥주]]를 잘 마시고 "괜찮네?" 하는 반응도 많이 나온다. [[맥주]] 하면 어디 가서 안 빠지는 [[영국]], [[독일]], [[호주]] 사람들도 이런 소리를 한다. <del>한국 [[맥주]]가 맛없다는 소리를 듣기 바라는 사람들로서는 실망스러울 일.</del> 반면 한국을 방문한 게 아니라 어느 정도 살면서 일상 생활을 하는 사람들, 즉 한국 맥주를 오랫동안 마셔온 사람들 사이에서는 한국 [[맥주]]에 대한 평가가 별로 좋지 않다. 생각해 보자. 세상에는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은 종류의 [[맥주]]가 있다. 이 [[맥주]]들을 1등부터 10000등까지 줄 세워서 서열을 매길 수 있을까? 불가능하다. 물론 [[와인]]처럼 [[맥주]] 평가 사이트에서도 [[맥주]] 랭킹 같은 것들을 발표하지만 상위권을 차지하는 [[맥주]]는 절대 다수가 [[크래프트 비어]]다. 아무튼 세상에는 수많은 종류, 수많은 스타일의 [[맥주]]가 있다. 광범위한 [[맥주]]들을 손쉽게 마실 수 있는 환경에서 사는 사람들에게는 그냥 카스 같은 [[맥주]]도 한 가지 스타일이다. 그리고 [[유럽]] 쪽에서 온 사람들 중에서 의외로 한국 [[맥주]] 괜찮네? 하는 사람들을 붙잡고 이유를 물어보면 "우리 [[맥주]]는 너무 진해서..."라는 얘기도 들을 수 있다. 즉, 한국 [[맥주]]는 옅어서 그냥 부담 없이 죽죽 마실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어쩌다 한국 [[맥주]]를 맛보는 사람들은 어? 이건 내가 그동안 많이 마셨던 [[맥주]]하고는 다른데? 뭔가 새로운 맛이네? 오호~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고든 램지가 한국에서 살면서 [[카스]]를 많이 마셔 봤다면 모를까, 광고 제의 들어와서 마셔본 카스 [[맥주]]는 나름대로 색다른 스타일이라서 새롭고 괜찮게 느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그저 돈 때문에 그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사실 자신의 사업과 방송 출연만으로도 돈이 넘쳐나는 고든 램지가 뭐가 아쉬워서 그러겠나. [[카스]]나 [[하이트]] 같은 [[맥주]]도 존재할 수 있고, 그런 [[맥주]]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어차피 자기 취향이다. 사실 지나치게 과대평가 되어 있는 [[일본]]의 [[드라이 맥주]]도 알고 보면 말오줌과 거기서 거기다. 문제는 한국인들에게는 오랜 세월 동안 [[맥주]]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사실상 없었다는 점이다. 수십 년동안 독과점 체제였던 OB와 크라운이 만드는 비슷비슷 밋밋한 잡곡 [[라거]]밖에 달리 선택할 게 없었다.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의 [[맥주]] 대기업이 [[밀맥주]]를 만들어 본 적이 있나? 시장성 없다는 핑계만 댈 줄 알았지 시장성을 만들 생각은 하지도 않았다. 90년대만 해도 [[기네스]]는 [[편의점]]에서 눈씻고 봐도 없었다. 호텔에서 마시려면 한 병에 2만 원씩이나 할 정도였다. 한국에서 살던 사람들은 그저 한국 [[맥주]]가 전부인 줄 알고 있다가 수입 [[맥주]]가 본격 들어오면서 그야말로 컬쳐 쇼크를 받게 된 것이고, 오랜 세월 동안 비슷비슷한 한 가지 스타일의 [[맥주]]만 만들어 온 한국 [[맥주]]에 대해 감정이 좋을 리가 없다. 그리고 정말 [[유럽]]의 그 쟁쟁한 [[필스너]]나 [[라거]]들과 비교해 봐도<ref>[[에일]]은 뭔가 같은 맥주라고 하기에도 뭐할 정도로 스타일이 워낙 다르니까 단순 비교는 안 하는 걸로.</ref> 맛이 엷고 별로인 게 사실이다. 단지 수십 년동안 사람들의 혀를 그렇게 길들여 왔을 뿐이다. [[맥아]]로만 만든 [[하이트 맥스]]나 [[프리미어 오비]], [[클라우드]] 같은 것들은 좀 낫지만... 다양한 수입 [[맥주]]가 소개되고 인기를 끄니 이제는 한국 [[맥주]] 회사들이 열심히 외국 [[맥주]]를 수입하면서, 한편으로는 "한국 [[맥주]]가 맛이 없다고? 그건 기분 탓이야!" 하고 강변하니 사람들이 좋게 볼 리가 없다. 아무튼 갖가지 다양한 스타일의 [[맥주]]로 둘러싸인 환경 속에 살아온 사람들이 어쩌다 마셔보는 한국 [[맥주]]에 관한 감상을 가지고 수십 년 동안 그 맛에 강제로 길들여온 사람들을 윽박지르는 건 반칙이다. 한편으로, 같은 한국 [[맥주]]라고 해도 보관과 기계 관리에 따라서도 [[맥주]] 맛은 천차만별이다. 기계 관리 철저하게 하고 [[케그]] 보관에도 신경 쓰는 곳들, 손님이 많아서 회전율이 높은 곳들은 확실히 [[맥주]] 맛이 좋은 반면, 기계 관리도 부실하고 [[케그]]를 한번 꽂고 며칠을 쓰는지도 의심스러운 곳의 [[맥주]]는 정말로 맛이 없다. ==그밖에== 한국 [[맥주]]가 맛이 없는 이유로 냉장 유통을 안 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 한여름에도 [[맥주]]가 담긴 [[케그]]나 병이 아무런 냉장 관리 없이 그냥 열을 받으니, 속에서 온도가 높아져버린 [[맥주]]가 변질될 가능성이 높고 설령 변질까지는 안 되더라도 맛이 변할 수 있다는 것. 물론 이 주장은 타당하긴 한데, 이 얘기를 하는 사람들이 종종 비교하는 게 [[일본]]이다. [[일본]] [[맥주]]는 모두 냉장유통을 한다면서 한국 [[맥주]]의 유통방식을 까는데, 사실 [[일본]]을 자주 가 보면 냉장 탑차를 사용해서 유통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거 없이 그냥 트럭에 싣고 배송하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즉, [[일본]]도 업체 나름이라는 것, [[일본]]을 가 보면 같은 브랜드의 [[생맥주]]라고 해도 업소에 따라 가격 차이가 꽤 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가격 차이에 따른 맛 차이도 은근히 느껴진다. 기계 관리는 물론 냉장 유통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무래도 냉장 탑차를 사용하는 유통 업체를 이용하면 비용이 좀 더 올라가긴 할 테니까. 다만 소매점에 공급할 때는 보통 인근 도매상을 이용하는데 여기에 걸리는 시간은 그리 많지 않지만 [[맥주]]공장에서 도매상 물류창고로 운송하고 창고에 보관되는 과정은 좀 의심해 볼만 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칭타오맥주]] 때문에 중국 맥주 이미지가 괜찮은 편이지만 중국 가서 마셔보면 상당수 중국 맥주들은 말오줌 급들이다. 우리가 마시는 [[칭타오맥주]]는 [[칭타오맥주]]의 라인업 중에서도 상위에 있고 중국에서도 고급 맥주에 속한다. 맥주 값은 확실히 싸지만 맥주 맛은 정말 별로다. 중국에서 파는 맥주에는 맥즙 함량이 쓰여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면 도움이 된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Ambox
(
원본 보기
)
틀:Ambox/핵심
(
원본 보기
)
틀:Biased
(
원본 보기
)
틀:각주
(
원본 보기
)
말오줌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