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호주 와인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호주 와인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신대륙 와인을 거론할 때, [[미국]], [[칠레]]와 함께 반드시 언급되는 나라가 [[호주]]다. 신대륙 중에서 [[와인]]을 만든 역사도 오래된 편이고, 넓은 땅덩이와 포도 농사에 좋은 기후와 토질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품종의 다양한 와인들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품질 역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호주]] 와인의 특징 중에 하나는 트위스트 캡이다. 일부 고가 와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 [[와인]]들이 [[코르크]]가 아닌 돌려 따는 뚜껑을 사용하고 있는데, 어느 게 더 낫냐 하는 문제는 그동안 내내 논란이 되어 왔다. 호주 와인의 본진으로 손꼽히는 곳은 뭐니뭐니해도 [[애들레이드]]를 중심으로 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로, 바로사밸리, 맥클라렌베일, 애들레이드힐을 비롯한 쟁쟁한 와인 산지들이 즐비하게 포진하고 있다. 특히 바로사밸리는 호주에서 가장 비싼 와인들이 줄줄이 나오는 곳으로 명성이 자자하며, [[호주]]에서 가장 비싼 와인인 [[펜폴즈 그랜지]]도 바로 이곳에서 나온다. 남쪽 해안을 따라서 빅토리아 주 역시도 야라밸리나 모닝턴반도를 비롯해서 준수한 와인을 뽑아내는 산지들이 있으며, 비교적 발동이 늦게 걸린 편이지만 [[웨스트오스트레일리아 주]]도 아직은 점유율이 미미한 수준이지만 마거릿밸리를 중심으로 근사한 와인을 만들어내면서 명성을 높여 가고 있다. 반면 [[뉴사우스웨일주 주]]나 [[퀸즐랜드 주]]는 좀 영향력이 약한 편이다. [[타즈매니아]]도 분전하고 있지만 아직은 많이 부족한 편. <del>노던준주는 뭐... 무시하자. 거긴 너무 무더워.</del> 많은 포도 품종들을 재배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호주 와인에서 가장 손꼽히는 품종은 뭐니뭐니해도 [[쉬라즈]]다.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피노 누와]]를 비롯해서 다양한 적포도 품종들을 만들고 있지만 [[쉬라즈]]의 명성을 따라오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 [[쉬라즈]] 100%만으로 만드는 [[와인]]이 많으며, 프랑스 [[론 와인]]처럼 [[그르나슈]], [[무드베드르]]와 갈은 품종을 블렌딩한 와인도 많이 만들고 있다. 화이트 와인 쪽으로는 [[샤르도네]], [[소비뇽 블랑]], [[피노 그리]], [[리슬링]]을 비롯해서 역시 다양한 품종들을 재배하고 있으며 가성비 좋은 오크 숙성 [[샤르도네]] [[와인]], 아로마가 우아한 [[소비뇽 블랑]] [[와인]]<ref>다만 [[소비뇽 블랑]] [[와인]]은 [[호주]]보다는 [[뉴질랜드]] 쪽이 세계적으로는 좀더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ref>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각주}} [[Category:와인]] [[Category:호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호주 와인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