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벌처펀드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벌처펀드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Vulture fund. [[스타크래프트]] [[테란]] 종족으로 플레이할 때 메카닉 테란을 선택하고 벌처에 자원을 집중 투자하는 것. [[벌처]]의 기동성과 스파이더 마인을 최대한 활용해서 타이밍 러시를 감행하는 것이 키포인트. 만약 한방 러시가 실패해도 적절한 운영으로 GG를 받아낼 수 있습니다. ...는 아니고. [[헤지펀드]]의 일종으로 좀 더 고상한 표현으로는 부실증권펀드(distressed securities fund)라고 한다. '벌처'는 [[대머리독수리]]를 뜻한다. 고상한 표현 그대로 해석하자면 위험도가 높은 부실증권에 투자하여 고수익을 추구하는 고위험 고수익 [[펀드]]의 일종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짐승의 썩은 시체를 파먹고 뼈까지 싹싹 발라먹는 [[대머리독수리]]처럼 부실하거나 허점이 많은 [[회사채]]나 [[국채]]에 투자한 후 경영권 분쟁이나 소송전으로 최대한 이익을 빼먹는 [[펀드]]를 뜻한다. 단지 지금은 위험도가 높지만 앞으로 상태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베팅하는 게 아니라, 투자 대상을 더욱 코너에 몰아가고 빈사상태에 빠뜨려서 주머니를 터는 짓도 불사하는, 그야말로 마른수건을 쥐어짜고 쥐어짜고 또 쥐어짜는 펀드다. [[국채]]를 예로 들어보자. 벌처펀드는 신용도가 극히 낮은, 심지어는 [[디폴트]]로 갈 확률이 높은 [[국채]]를 헐값에 매입한다. 이런 [[국채]]를 가진 사람 또는 기관은 휴지조각을 사준다니 [[우왕ㅋ굳ㅋ]]을 외치면서 떨이로 종이값만 받고 넘긴다. <s>말만 잘하면 쓰기 편하게 두루마리로 만들어서 줄 기세.</s> 보통의 고위험 고수익 펀드라면 만약 국채를 발행한 나라가 진짜로 디폴트 선언을 하면 좆됐다! <s>어차피 헐값에 산 거니 휴지로 쓰지 뭐.</s>를 외치겠지만 벌처펀드라면 그때부터가 게임 시작이다. 벌처펀드가 즐겨쓰는 방법은 투자자를 규합해서 국가를 상대로 외국 법원에 소송을 거는 것. A라는 나라에서 [[국채]]를 발행했어도 B라는 나라의 시장을 통해 팔았다면 B 나라의 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승소하면? 해외에 있는 A 나라의 자산에 압류를 건다. 뒤통수 맞은 A 나라는 결국 울며 겨자먹기로 [[채권]]을 전액 액면가로 상환한다... 이런 시나리오다. 벌처펀드야 헐값에 산 채권을 제값 다 받으니 대박쳐서 좋지만 돈 없어서 [[디폴트]]를 선언했는데 이런 식으로 탈탈 털린 나라는 더더욱 거덜이 나 버린다. 벌처펀드에게 군함까지 압류당한 [[아르헨티나]]가 가장 잘 알려진 희생자. 단순히 시장을 통한 수익을 노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회사 경영에 관여하거나 소송을 통해서 최대한의 수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주주 행동주의 펀드라는 말도 쓴다. 한국에서는 [[엘리엇매니지먼트]]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제동을 걸고 나오면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엘리엇매니지먼트]] 항목 참조.
벌처펀드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