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공항철도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공항철도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도시와 인근 공항을 잇는 <del>바가지</del> 철도망. 최근 들어서는 공항을 건설할 때 공항철도까지 함께 계획을 세워서 만드는 경우가 많다. 건설비가 많이 들긴 하지만 대량 여객 수송 수단으로 철도만한 게 없고, 도로는 교통 체증 때문에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가늠하기 힘들 때가 종종 있지만 철도는 거의 예상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비행기를 타러 공항에 가는 손님들은 체크인 마감에 늦지 않기 위해서 언제까지 공항에 도착할 수 있을 지 미리 알아두어야 하기 때문에 정시성이 아주 중요하고, 그런 면에서는 철도만한 답이 없다. 특히 요즈음 건설되는 공항은 대규모 부지 확보, 소음과 같은 여러 이유 때문에 도심 및 주거지와는 떨어진 외곽으로 점점 밀려나고 있으며, 거리가 멀어지는 만큼 교통 대책을 확실하게 수립해 놓고 가야 한다. 이에 따라 여객 수요를 고속으로 수송할 수 있는 수단으로 도시철도는 물론 [[고속철도]]나 심지어 [[상하이 푸둥국제공항]]처럼 [[자기부상열차]]까지 등장하고 있다. 공항 터미널이 여러 개라면 터미널 사이를 잇는 셔틀 수단으로도 활용된다. 예를 들어 런던 [[히드로공항]]과 시내를 잇는 특급열차인 [[히드로 익스프레스]]는 터미널간 이동은 무료다. <del>반면 [[시드니공항]]의 [[에어포트링크]]처럼 터미널간 이동에도 6 달러를 받아 처먹는 데도 있다.</del> 우리나라도 인천공항철도가 화물터미널-제1여객터미널 -제2여객터미널을 이어주고 있다. 다만 이들 터미널 사이에는 무료 셔틀버스도 있으며 공항철도를 타려면 돈을 내야 한다. [[공항]]을 종착점으로 건설되는 노선이 있는가 하면 그저 [[공항]]을 경유하는 노선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인천공항철도]]나 [[오사카]] [[간사이공항선]], [[런던]]의 히드로공항선과 같은 노선이 있고, 후자에 해당하는 것은 김포공항을 경유하는 서울지하철 5호선 및 9호선, [[광주공항]]을 경유하는 광주광역시 지하철 1호선이나 [[호주]] [[시드니]]의 [[에어포트링크]]<ref>광주 지하철 1호선은 공항역을 이용해도 요금 차이가 나지 않지만 [[시드니]] [[에어포트링크]]는 역 사용료를 왕창 받아 먹는다.</ref>. [[일본]] [[후쿠오카]]의 공항선은 후쿠오카공항역이 종착역이긴 한데 공항철도라기보다는 그냥 지하철에 가깝고 요금도 공항으로 간다고 해서 특별히 비싸지지도 않는다. [[공항]]에 관한 게 다 그렇지만 다른 철도 노선보다 요금이 왕창 비싸다. 심지어 그저 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인데도 공항역에서 타고 내릴 때는 할증료를 듬뿍 붙인다. 심지어 단지 [[에어포트링크|터미널 간 이동에도 왕창 요금을 매기는 악랄한 노선]]도 있다. 독점의 폐해나 마찬가지. 다만 이 부분은 꼭 독점 문제라고만 보긴 뭣한 게, 공항철도는 애초에 수요를 '공항'에 특화시켜 놓은 것이고, 그에 따라 정차역이 보통 도시철도보다 적은 경향이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도 정차역 간 간격이 지하철에 비해 훨씬 길다. 크고 아름다운, 게다가 무거운 짐을 가진 승객이 많은 만큼 역 안에 엘리베이터를 넉넉히 배치해 놓고 객차 안에는 따로 짐칸을 둔다든가 하는 배려를 하는 노선도 있고, 그냥 지하철하고 다를바 없어서 짐 가진 승객들이 애를 먹는 노선도 있다. 특히 [[시드니]]의 [[에어포트링크]]가 정말 지랄이다. [[시드니]] [[도시철도]]인 [[시티레일]]과 똑같은 2층 열차라서 출입문 근처 1.5층의 좁은 공간은 금방 차고, 짐을 들고 계단을 따라 1층으로 내려가거나 2층으로 올라가야 한다. 게다가 객차 안은 4열 좌석이라 통로도 좁아서 짐 가진 사람은 이래저래 고생이다. 이러면서 돈은 거대하게 받아먹는다. 자세한 내용은 [[에어포트링크]] 항목 참조. 인천공항철도의 경우 직통열차에는 짐 두는 곳이 따로 있지만<ref>하지만 손님이 좀 있을 때는 여기도 금방 들어찬다.</ref> 일반열차는 그냥 지하철과 같은 롱 시트다. 우리나라에는 [[인천공항]]을 만들면서 함께 건설된 [[인천공항철도]](AREX)가 [[서울역]]에서 시작해서 [[김포공항]]을 경유해서 [[인천공항]]까지 간다. [[김포공항]]으로는 서울 지하철 5호선과 9호선도 들어가지만 공항이라고 할증요금을 받지는 않는다. [[김해공항]]에는 김해경전철, [[청주공항]]에는 충북선 철도, [[광주공항]]에는 광주 지하철 1호선이 들어가지만 공항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바가지를 씌우지는 않는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공항철도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