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고등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고등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등푸른 생선]]의 대표 주자.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등푸른 생선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게 고등어다. 그만큼 많이 먹고, 조리법도 다양하다. '고등어'라는 말은 원래는 '고도리'에서 나온 것이다. 지금은 고등어 새끼를 뜻하는 말이지만 옛날에는 '고도리'가 고등어를 뜻하는 우리말이었다. 연근해에서도 잡히지만 워낙 수요가 많은 물고기다 보니 [[노르웨이]]산 고등어도 수입되고 있다. 수입이라고는 하지만 이 [[노르웨이]]산 고등어가 워낙 실하고 맛도 좋은 데다가 수산업 강국답게 품질관리도 아주 잘 하기 때문에 인기가 많다. 심지어는 국산보다도 낫다는 말이 나올 정도. 그밖에는 일본산도 많이 들어오는 편이다. [[파일:Sliced raw mackerel.jpg|upright 1.5|섬네일|없음|고등어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구이]]나 [[조림]]으로 해 먹는다. [[회]]로 먹기도 하지만 산패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운송과 보존이 까다로운 놈이라, 산지가 아니면 보기 힘들다. 오죽하면 선어회가 대세인 일본에서도 고등어회는 활어회가 많다. 특히 고등어가 많이 잡히는 [[후쿠오카]] 쪽은 고등어 활어회를 많이 먹는 편이다. 그래도 요즘은 운송 기술도 발달하고, 침을 놓아서 기절시킨 다음 운송하는 방법도 있어서 서울을 비롯해서 산지와 먼 곳에서도 고등어회를 파는 곳이 생겼다. [[파일:Shimesaba.jpg|upright 1.5|섬네일|없음|[[시메사바]].]] [[일식]]집이나 [[이자카야]]에서는 날고등어를 식초에 절인 [[시메사바]]<ref>우리나라에서는 '고등어 초절임'이라고도 한다.</ref>를 팔기도 하는데, 제대로 하는 곳에서는 정말 맛있는 [[시메사바]]를 만드는 곳도 있지만 냉동 제품을 파는 곳도 많으니 주의하자. 냉동 제품은 맛도 없는 데다가 비린내도 장난이 아니다. [[시메사바]]가 비린내를 잡고 살균효과도 주기 위한 목적이 있는 건데 [[시메사바]]에서 비린내가 난다면 완전 실패작이다. 직접 [[시메사바]]를 만드는 가게에서도 비린내를 확실하게 잡아내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비린내를 싹 잡고 살도 너무 단단하지도 무르지도 않은 [[시메사바]]를 만드는 요리사라면 실력은 믿어도 될 정도로 난이도가 높다.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등어의 배를 가르고 소금을 뿌려서 [[자반]]을 만들기도 하는데, 보존성이 나아지니까 가격도 저렴하고, 짭짤한 맛 때문에 [[자반]] 고등어 구이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 여기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된 게 안동의 명물 간고등어. 다만 전통의 고장 안동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간고등어는 그리 역사가 오래되진 않았다.<ref>안동찜닭도 흔히 생각하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1970년대에 한 치킨집에서 시작된 음식이다.</ref> 고등어를 소재로 한 노래도 있다. 가장 유명한 건 역시 산울림의 <어머니와 고등어>. 루시드 폴의 <고등어>는 고등어의 시점에서 고단한 서민들의 삶을 바라보는 가사와 부르기 쉬운 잔잔한 가락으로 노래방에서 은근 인기 있는 노래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고등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