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카쿠빈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카쿠빈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Kakubin.jpg|200px|없음]] サントリーかくびん(角瓶)。 <del>[[하이볼]]의 재료. 그냥 마시는 사람은 없다.</del> [[산토리]]의 [[위스키]] 브랜드로 [[산토리]] 제품 중에는가장 저렴한 가격대에 있다.<ref>이거보다 좀 더 저렴한 토리스(Tory's)라는 것도 있다.</ref> 카쿠빈이라는 이름은 '각진 병'이라는 뜻인데, 거북이 등껍질에서 따온 병의 무늬가 특징이며, 또한 원통형이 아닌 각형으로 되어 있는 병의 모양도 특징으로 카쿠란 이름도 여기에서 왔다. 이 브랜드가 박힌 잔도 비슷하게 거북 등껍질 무늬에 각진 모양으로 만들었다.[[야마자키증류소]]와 [[하쿠슈증류소]]에서 나오는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 위스키]]를 블렌딩해서 만든다. [[버번]] 위스키를 숙성시켰던 나무통에<ref>[[위스키]]는 종종 [[와인]]이나 다른 [[증류주]]를 숙성시켰던 통을 재활용하곤 한다. 통 값이 워낙에 비싼 것도 있고, 다른 술을 숙성시켰던 통을 사용하면 예전에 숙성할 때 나무에 스며들었던 술이 약간 녹아나오면서 좀더 복잡한 특성을 만들어내기도 한다.</ref> 숙성한 원액을 사용하는 모양. 역사는 [[산토리]]의 전신인 고토부키야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1937년에 출시되었으니 [[산토리]] 역사의 산 증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del>거북이 등껍질 모양이라서 그런지 거북이만큼이나 장수 브랜드가 되고 있다.</del> [[산토리]] [[위스키]] 중에서는 가장 저렴한 라인업에 속하고, [[일본]]의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고 소득도 풍족해지면서 사람들의 취향도 고급화 테크를 타게 되다 보니 카쿠빈도 뒤로 밀리게 되는데, 돌파구가 된 건 [[하이볼]]. 2008년부터 밀기 시작한 [[하이볼]]이 대박을 치면서 카쿠빈 판매량이 크게 늘고 일본에 [[하이볼]] 붐이 이는 계기를 마련한다. 어느 정도였냐 하면 업소에만 공급되는 2 리터 4 리터짜리 대용량 PET병 버전이 나오고 2010년 하반기부터는 원액 부족으로 생산량을 제한해야 하는 거 아니냐는 얘기가 내부에서 나올 정도였다. [[산토리]] 웹사이트를 봐도 이건 아예 [[하이볼]]용 [[위스키]]인가 싶을 정도로 [[하이볼]]에 관한 얘기가 잔뜩 들어 있다. 아예 [[스트레이트]]나 [[온더락스]]로 마시는 방법에 관해서는 다루지도 않고 있다. [[하이볼]]로 만들어서 캔에 담아 나오는 제품도 출시되어 있고, 아무튼 [[하이볼]] 하면 카쿠빈을 떠올릴 정도로 [[일본]]의 [[하이볼]] 문화를 주도하고 있는 [[위스키]]다. 일본의 [[하이볼]] 문화가 슬슬 우리나라로도 건너 오면서 한국에서도 카쿠빈의 판매가 조금씩 늘어나는 중이다. ==관련 항목== * [[산토리]] * [[하이볼]] {{각주}} [[Category:위스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카쿠빈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