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Cloud Firestore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Cloud Firestore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Cloud Firestore. [[구글]]에서 [[클라우드]] [[Firebase]] 서비스의 일부로 제공하는 [[NoSQL]] 기반 [[데이터베이스]]. 원래 제공하던 Realtime [[데이터베이스]]와 병행 제공하고 있으나, [[구글]]은 웬만하면 Firestore를 쓰라고 권하고 있다. Realtime 쪽은 앞으로 기능을 개선시킬 계획이 없는 반면, Firestore 쪽은 앞으로 계속 발전시킬 것이라고 <del>일단 장담은</del> 하고 있다. 문서(document) 기반으로 [[NoSQL]]이므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엄격한 스키마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최대 장점이라면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실시간 동기화로, [[구글]]의 가이드라인 대로 라이브러리를 가져와서 코딩하면 별다른 걸 안 해도 서버의 변경 내용이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에도 반영된다. 인터넷 연결이 끊어졌을 때에는 자동으로 로컬 캐시에 있는 내용을 사용하므로 초기에 서버에서 아무 데이터도 받지 못했을 때를 제외한다면 어쨌든 돌아는 간다. 이러한 편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거지 같은 질의 기능으로 뒷목잡게 만든다. 원래 [[NoSQL]]이 [[SQL]]은 아주 쉽게 되는 갖가지 조인 연산이 안 되고 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익숙한 사람들에는 머리에 쥐나게 만들지만 Firestore는 [[몽고DB]]와 같은 [[NoSQL]]과 비교해도 더 짜증나는 부분이 많다. 일단 텍스트 검색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사실상 필드 값 전체에 걸쳐서 정확히 같은 문자열인가만 비교할 수 있다. '큰지', '작은지' 비교하는 연산자도 사용할 수 있으나 효용성이 정말 많이 떨어진다. [[구글]]은 Algolia와 같은 텍스트 검색 엔진을 붙여서 쓰라고 하는데 이건 또 별도로 유료라서 이중으로 돈이 나간다. 따라서 검색 기능이 필요한 앱을 만들 때에는 정말로 뒷목 잡게 만드는 원흉이다. [[NoSQL]]이 텍스트 검색 부분은 인덱스 문제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비해서 약하지만 Firestore는 그 중에서도 심한 편에 속한다. 유료다. 기본 무료 사용량을 제공하므로 개발 단계, 혹은 소규모 서비스는 무료에 가깝게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량에 따라 돈이 나간다는 점에 유의하자. * 데이터 용량 : 1 기가바이트까지는 무료. 이후 매달 기가바이트 당 0.18 달러. * 네트워크 방출량 : 월 10 기가바이트까지는 무료. 이후에는 구글 클라우드 요금제에 준한다. * 읽기 : 하루 5만 문서까지는 무료. 이후 10만 문서 당 0.06 달러. * 쓰기/지우기 : 각각 하루 2만 문서까지는 무료. 이후 각각 10만 문서 당 0.18 달러. 요금제는 크게 Spark와 Blaze로 나뉘며, Spark는 위의 무료 사용량까지만 서비스를 제공한다. Blaze는 Spark와 같은 무료 사용량을 제공하고, 이를 넘어가는 부분은 과금한다. [[Category:데이터베이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Cloud Firestore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