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에너지 저장 장치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에너지 저장 장치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Energy storage system (ESS). 말 그대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다. 전기에너지에 주로 쓰이는 장치다. 전기에너지는 만들어지고 나서 바로 쓰여야 하며, 사용되지 않은 에너지는 날아가 버린다. 이러한 에너지를 장기 저장<ref>여기서 장기 저장이란 짧게는 몇 시간에서 길게는 며칠 이상을 뜻한다. 전기에너지는 워낙에 찰나의 순간을 기본으로 하는지라, '몇 분' 조차도 무척 긴 시간이다.</ref>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서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전기에너지로 바꾸어서 내보내는 장치를 뜻한다. ESS가 특히 주목 받게 된 것은 [[재생에너지]]가 각광을 받으면서부터다.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의 단점이라면 임의로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태양광]]은 밤에는 발전량이 0에 수렴하며, [[풍력]]도 바람의 세기는 자연의 영역이므로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ref>[[태양광발전]] 중 태양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바꾸는 가동식이 있긴 하지만 설치비와 유지비, 그리고 고장 가능성 때문에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풍력발전]]은 날개의 각도를 트는 방식으로 발전량을 줄일 수는 있다.</ref> 어떤 때는 필요이상으로 과잉 에너지가 만들어지며, 어떤 때는 에너지가 만들어지지 않는 불균형이 발생하는데, 이를 완충시켜 줄 수 있는 게 ESS다. 즉 과잉 발전이 될 때에는 ESS에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발전량이 부족할 때에는 ESS가 전기를 만들어 내는 식이다. 현재는 ESS라면 배터리를 대규모로 사용하는 방식이 대세다. [[전기자동차]]와 함께 [[2차전지]]의 주요 수요처로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급속도로 시장이 커지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나중에 수명을 다하면 어떻게 할 건가를 두고 말이 많은데, 대부분은 ESS에서 재활용될 것이다. 자동차는 아주 한정된 공간에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이 초기 대비 80% 이하로 떨어지면 수명이 다했다고 보지만, 공간 제약이 훨씬 적은 ESS에서는 이 정도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전기차]] 배터리가 수명을 다하는 시점이 오면 엄청난 폐배터리 대란이 올 것처럼 얘기하는데 그 중 상당수는 ESS가 흡수하고, ESS로 쓰기 어려운 경우에도 폐배터리로부터 각종 금속들을 회수해서 재활용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가 꼭 배터리여야 하는 법은 없다. 물리적인 ESS도 있다. 양수발전소도 일종의 ESS다. 거대한 [[플라이휠]]을 돌려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수소 역시 ESS로 주목 받는 수단 중 하나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에너지 저장 장치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