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밀맥아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밀맥아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밀]]의 싹을 틔워서 만든 것. [[맥아]]라는 말에 '[[보리]](麥)'라는 말이 있어서 '밀맥아'라는 말이 이상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자]]로 쓰자면 [[보리]]는 대맥(大麥), [[밀]]은 소맥(小麥)이라고 쓰니까<ref>그래서 [[밀가루]]를 '소맥분'이라고 쓴 것을 식품 성분표에서 종종 볼 수 있다.</ref> ' 밀맥아'라는 말이 꼭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맥아]]를 만들기에 가장 좋은 곡물은 [[보리]]이긴 하지만 [[밀]]은 서양에서 주식으로 써 왔기 때문에 널리 재배했고 가격이 싸서 옛날부터 밀맥아도 많이 만들었다. [[밀맥주]]를 만드는 데 많이 쓰인다. 발아 곡물로는 보리 [[맥아]] 다음으로 [[맥주]]에 많이 쓰인다.<ref>그밖에도 호밀, 귀리, 쌀도 발아시켜서 재료로 사용하지만 보리나 밀에 비하면 훨씬 마이너하다.</ref> 우리나에서 인기 좋은 <del>그래서 오가든이 나오는</del> [[호가든]]이 그 대표격. 보리[[맥아]]보다 창백한 색깔과 특유의 시큼한 듯한 맛에 더해 은은한 단맛을 가진 독특한 풍미의 [[밀맥주]]가 나온다. 맑지 않고 뿌연 [[밀맥주]]가 많은 이유는 [[효모]]를 걸러내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보리 [[맥아]]에 비해 밀맥아에 글루텐을 비롯한 [[단백질]] 함유량이 높기 때문이다. 보리[[맥아]]로 만든 [[맥주]]보다 맛이 부드럽기 때문에 [[오렌지]] 껍질, [[코리앤더]] 같은 [[과일]]이나 [[허브]], [[향신료]]와도 잘 어울린다. 반면 풍부하고 묵직한 맛과 향은 보리[[맥아]]보다 떨어지며 산도가 높아서 신맛이 좀더 부각되는 경향이 있다. [[독일]]이 [[맥주순수령]]을 공표한 이유도 밀맥아를 만드느라 먹을 밀이 부족해서 그런 거라고 할 정도로, [[유럽]]에서는 밀맥주가 인기가 좋다. 사실 [[맥주순수령]] 이후에도 독일에서는 밀맥주가 계속 나왔는데, [[맥주순수령]]을 공표한 바바리아(지금의 바이에른 주) 공작의 가문이 데겐베르크 가문에게 귀족들이 소비할 밀맥주 독점 생산권을 줬기 때문이다. 주세법상 '[[맥주]]'는 보리로 만든 [[맥아]]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지만 밀맥아를 사용한 것도 [[맥주]]로 인정한다. 알고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녹말]]을 [[당분]]으로 바꾸기 위해 밀을 이용했다. [[당화효소]]와 [[효모]]를 함께 가지고 있는 [[누룩]]의 주원료가 통밀과 밀기울이다. 우리 [[술]]에는 [[맥아]]보다 [[누룩]]을 많이 썼다. 하지만 밀맥아와는 달리 [[누룩]]은 싹을 틔우지 않고 쪄서 만든다.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두면 [[누룩곰팡이]], 곧 [[국균]]이 붙어서 [[당화효소]]를 만들기 때문에 [[밀]] 자체를 싹 틔워 당화효소를 만드는 [[맥아]]와는 다르다. <del>역시 [[발효]]의 민족.</del> [[식혜]]나 [[엿]]을 만드는 데에는 별로 쓰이지 않았지만 요즘 나오는 [[엿기름]]을 보면 보리맥아 80%에 밀맥아 20%이 들어가는 제품이 많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밀맥아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