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기내 엔터테인먼트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기내 엔터테인먼트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In-flight entertainment (IFE). 항공기 승객들에게 기내에서 영화, 음악, 비행정보를 비롯한 각종 오락거리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제공해 주는 시스템. 여객기의 기내 서비스를 평가할 때, 좌석, 승무원의 서비스, [[기내식]]과 함께 주요한 평가 요소이며 항공사들이 많은 투자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운영체제로는 과거에는 리눅스 또는 윈도우 임베디드를 주로 썼으나, 최근에는 [[안드로이드]]를 쓰는 추세다. 최신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보면 안드로이드 태블릿과 비슷한 느낌을 많이 받으며, 심지어 안드로이드 태블릿과 비슷한 홈 버튼이나 뒤로 가기 버튼이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종류== ===오버헤드=== ===PTV=== ===AVOD=== ===스트리밍=== 좌석에 스크린이나 컨트롤러를 설치하지 않는 대신, [[기내 와이파이]]<ref>항공사에 따라 [[기내 인터넷]]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외부 인터넷 이용은 안 되고 오로지 기내 엔터테인먼트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사도 있다.</ref>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로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요즈음은 거의 대부분 스마트폰이든 태블릿이든 모바일 기기를 가지고 다니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해서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항공사에 따라서는 좌석마다 태블릿을 하나씩 꽂아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곳도 있다. 콴타스의 경우 일부 기종에 아이패드를 하나씩 꽂아 놓았다. 물론 들고 튀는 손님을 막기 위해 보안장치를 하거나 줄로 매달아 놓거나 하는데, 아무래도 관리가 쉽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 업그레이드도 해야 하므로 많이 쓰이는 방식은 아니다. 스트리밍 방식으로 기내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항공기라고 해도 [[퍼스트 클래스]] 또는 [[비즈니스 클래스]]에는 별도로 AVOD를 설치하거나, 태블릿을 대여해 주거나 하는 항공사도 있다. 주로 저가항공사들이 비용 절감 차원에서 많이 이용하지만 풀 서비스 캐리어도 점점 스트리밍 방식을 채택하는 항공사가 늘고 있다. 한국의 풀 서비스 캐리어 중에는 [[아시아나항공]]이 A320Neo에 이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 [[대한항공]]은 C220에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기내 엔터테인먼트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