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크로넨버그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크로넨버그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Kronenbourg 1664 draught.jpg| upright 1|섬네일|크로넨버그 1664 [[생맥주]].]] Kronenbourg. [[프랑스]] [[알자스]] 지역의 [[맥주]] 회사이자 [[맥주]] 브랜드. [[프랑스]] 회사니까 [[프랑스어]] 발음으로 하자면 '크호넌부흐'<ref>프랑스어에서 r는 가래 끓는 듯한 '흐' 발음에 가깝다. 다만 한글 표기를 할 때에는 'ㄹ'로 하는 게 표준이다. 프랑스어 한글 표기법에 따르면 '크로낭부르'로 쓰는 게 맞다.</ref> 정도에 가깝다. 그런데 [[알자스]]는 여러 모로 독일과 가까운 부분에 많은데, 독일어 스타일로 읽으면 '크로넨부르크'가 된다. 사실 단어 머리에 K가 오는 건 프랑스어에서는 드물고 주로 독일어에서 많이 나타난다. '크로넨버그'는 영어식으로 읽은 것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수입사인 하이트진로가 공식으로 '크로넨버그'를 쓰고 있다. 이 회사의 고급 브랜드인 1664가 뜻하는 것처럼 1664년에 설립된 유서 깊은 [[맥주]] 회사다. 회사 이름은 1862년에 양조장을 알자스 스트라스부르의 크로낭부르 지역으로 이전한 것이 기원이다. [[영국]]의 스코티시 & 뉴캐슬에 팔렸다가 이 회사가 [[칼스버그]] 그룹에 팔리는 바람에 지금은 크로넨버그도 [[칼스버그]]그룹에 소속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프랑스]]가 아닌 [[덴마크]]에서 만든 크로넨버그 1664 맥주가 우리나라에 수입되기도 한다. [[프랑스]]야 워낙에 [[와인]]이 명성을 날리다 보니 [[맥주]]는 상대적으로 별반 유명한 게 없는데, [[프랑스]] [[맥주]] 중에 가장 전 세계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브랜드다. 물론 [[프랑스]] 안에서도 잘 나가고 있으며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브랜드다. 사실 [[알자스]] 지방은 오히려 [[프랑스]] 다른 지역보다는 뻥 뚫려 있는 옆나라 [[독일]]과 더 교통이 편한데, 그러다 보니 [[프랑스]]지만 [[독일]]과 오히려 문화면에서는 더 비슷한 점이 많다. 역사적으로 보면 독일 쪽에 속했던 시기가 더 많았다. 일부 지역은 [[프랑스어]]보다 오히려 [[독일어]]가 더 잘 통하기도 하고, [[독일]]과 [[프랑스]] 사이에 분쟁이 터지면 제일 먼저 털리는 지역이기도 하다.<ref>알퐁스 도데의 단편소설 <마지막 수업>을 떠올려 보자.</ref>, 아무튼 그런 배경에서 [[맥주]] 문화가 발달한 [[독일]]의 영향을 많이 받은 [[알자스]]에 [[프랑스]] 제1의 [[맥주]] 회사 크로넨버그가 있는 게 어찌 보면 당연한 얘기. 실제로 [[프랑스]]를 돌아다니다 보면 가장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맥주]] 중에 하나다.<ref>[[알자스]]는 [[와인]]도 다른 [[프랑스]] 지역보다는 [[독일]]처럼 [[리슬링]]이나 [[게뷔르츠트라미너]]가 손꼽히는 품종이다.</ref> 가장 잘 알려져 있는 브랜드는 역시 [[라거]] 및 [[밀맥주]] 계열인 1664<ref>프랑스어로 읽으면 'seize soixante quatre'(세즈 수아상트 캬트르)다. 영어처럼 [[프랑스어]]도 년도를 읽을 때에는 두 자리씩 끊어 읽는다. 프랑스에서는 1664 맥주를 얘기할 때에는 '세즈'라고 줄여 부른다.</ref>. 그냥 크로넨버그 맥주도 있지만 크로넨버그 1664 쪽이 더 고급 브랜드다. 1664는 말 그대로 회사가 생긴 1664년부터의 스타일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게 회사의 주장인데, 블랑을 비롯한 그밖에 다른 1664 라인업들을 대부분 역사가 길지 않다. 라거 다음으로 역사가 긴 1664 골드가 1977년에 나왔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히트치고 있는 1664 블랑은 2006년에야 출시되었다. 크로넨버그 1664는 [[라거]] 스타일이지만 [[독일]]과 인접해 있다는 지리 조건이 무색하게 [[맥아]] 말고도 [[옥수수]] 시럽이 들어간다. 맛은 나쁘지도 않지만 자기만의 존재감이 확 있는 느낌도 아닌 평범한, 시원하게 마시기 좋은 [[라거]]. 우리나라에는 2000년대 초반부터 수입이 되다 말다를 여러 번 했는데, 처음에는 [[라거]]인 크로넨버그 1664가 들어오다가 큰 인기는 못 끌고 한동안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다가 대략 2015년 경부터 [[밀맥주]]인 1664 블랑<ref>Blanc. [[프랑스어]]로 흰색이란 뜻이다. 뿌연 [[밀맥주]]에 white, Weiß(Weiss), blanc과 같이 흰색을 뜻하는 단어를 흔히 쓴다.</ref>이 약간 달달하면서도 부드러운 스타일로 특히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히트를 치면서 꽤 입지가 생겼다. 그런데 크로넨버그나 1664라는 말 대신 그냥 '블랑'이라고만 이름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 정작 '크로넨버그'라는 브랜드는 사람들이 잘 모르는 게 함정. [[산토리 더 프리미엄 몰츠]]는 사람들이 그냥 [[산토리]] [[산토리]] 하고만 부르다 보니 [[맥주]] 이름인 '더 프리미엄 몰츠'는 묻혀 버린 것과는 반대. 1664 블랑은 인기를 끌고 한국에서 확실히 정착된 것과는 달리 정작 메인 제품인 [[라거]] 쪽은 여전히 큰 인기를 끌지 못하고 들어오다 말다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각주}} [[Category:맥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크로넨버그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