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오벌 트랙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오벌 트랙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Oval track. 오벌 코스라고도 한다. 오벌은 타원을 뜻하는 말로, 즉 0 모양의 타원형 트랙을 뜻한다. 따라서 코너는 양 끝에만 존재하며 모두 같은 방향으로 휘어진다. 육상, 빙상, 자전거, 경마, [[모터스포츠]]에 이르는 많은 경주의 트랙은 오벌 트랙이다. [[모터스포츠]]는 다양한 방향과 형태의 코너를 조합한 코스를 많이 사용하며, 이를 [[로드 코스]]라고 하는데 다른 스포츠에서는 일반도로를 이용하는 장거리 경주<ref>예를 들어 마라톤, 투르 드 프랑스와 같은 장거리 자전거 경주.</ref> 같은 경우가 아니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일단 육상 경기는 100미터 또는 그 이하의 달기리 경기 및 마라톤과 경보를 제외하고는 400 미터 오벌 트랙이 기본이다. 학교 운동장도 기본으로 400 미터 오벌 트랙을 가지고 있다. 흙바닥 운동장도 400 미터 트랙 표시를 해 놓고 있으며 우레탄으로 되어 있다면 말할 것도 없다. 사실 [[모터스포츠]]를 제외한 거의 모든 트랙 경기는 오벌 트랙만을 사용하므로 오벌이라는 말이 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오벌 코스는 공통적으로 두 개의 평행한 직선 구간을 좌우로 배열하고 그 양끝을 두 개의 큰 반원형 코너로 잇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서킷에 따라서는 위아래에 짧은 직선 구간을 배열하고, 총 네 개의 직선 구간을 4분의 1 원형 코너 4개가 잇는 구성이기도 하다.<ref>여기서 좌우, 위아래라는 개념은 그냥 머릿속에서 연상하기 쉽도록 하는 개념일 뿐이다.</ref> 즉 0 모양 혹은 모서리가 둥근 길쭉한 직사각형 모양이라는 뜻. 모든 코너가 같은 방향으로 휘어지며, 여기에 [[모터스포츠]]와 자전거 트랙은 코너 구간의 안쪽이 낮고 바깥쪽이 높도록 경사지게 만들어 코너링 때의 원심력을 상쇄시켜주므로 더더욱 빠르게 코너를 돌 수 있다.<ref>다만 이건 트랙이 포장 도로일 경우이며, 비포장 트랙이라면 [[모터스포츠]]용이라고 해도 경시가 없다.</ref> 속도를 줄일 필요가 별로 없어서 그야말로 고속 중에 고속 서킷이다. 미국의 [[모터스포츠]]는 오벌 트랙 경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미국 최고의 인기 시리즈인 [[나스카]]는 오벌 트랙이고 [[인디카]]는 오벌 트랙과 [[로드 코스]]가 섞여 있지만 단일 경기로 미국 최고의 인기 [[모터스포츠]] 이벤트인 인디 500은 오벌 트랙이다. 반면 미국 바깥에서는 오벌 트랙 레이싱이 별 인기가 없어서 오벌 트랙 역시 보기가 드물다. 일본에는 [[트윈링 모테기]]가 오벌 트랙과 [[로드 코스]]를 모두 갖추고 가끔 [[인디카]] 시리즈<ref>예전에는 CART, 챔프카와 같은 이름이었던 적도 있었다.</ref> 같은 오벌 트랙 레이싱을 유치하기도 했으나 동일본대지진 때 오벌 트렉이 파손된 후로는 복구하지 않고 그냥 주차장 신세로 전락했다. [[후지스피드웨이]]도 처음에는 일본나스카협회라는 곳에서 [[나스카]] 레이싱을 위한 오벌 트랙으로 건설했지만 지금은 로드 코스만 남아 있고 소유권은 [[토요타]]가 가지고 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오벌 트랙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