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채소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채소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菜蔬. 사전에서 풀이하는 의미는 '밭에서 캔 농작물'이다. 즉 주로 산에서 야생으로 자라며 이를 캐서 먹는 산채(山菜)는 엄밀히 말하면 채소에 들어가지 않지만 일상에서는 별로 구분하지 않는다. '야채(野菜)'라는 말도 많이 쓰이고 오히려 요리에서는 채소보다는 '야채'를 더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 야채는 들 야(野)를 사용하는 한자어로, 산채와 더욱 확실하게 구분이 되는 개념이다. 야채가 일본식 한자어라는 견해도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기 때문에 국립국어원에서도 둘 다 바른 표현으로 인정한다.<ref>[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qna_seq=224256&pageIndex=1 "채소와 야채"], 온라인 가나다, 국립국어원, 2021년 8월 20일.</ref> 채소의 정의, 즉 어떤 식용식물이 채소인가 아닌가에 관한 구분은 예나 지금이나 정답이 없다. 특히 '이건 과일인가 채소인가'를 따지는 논란은 [[요태까지 그래와꼬 아패로도 개속|지금까지도 수많은 논란을 낳는 떡밥이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관점에 따라 채소를 정의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 예를 들어 농학에서는 채소의 정의를 '신선한 상태로 부식 또는 간식에 이용되는 초본(풀)성의 재배식물'로 보고 있다.<ref> 반면 [[과일]], 정확히는 과실은 '목본(나무)식물의 열매'로 정의하고 있다.[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menuId=PS00078&cntntsNo=210280&totalSearchYn=Y "과일과 채소 구분 문의"], 현장기술 상담결과, 농사로, 농촌진흥청, 2019년 2월 1일.</ref> 즉 풀은 채소, 나무열매는 과일이라는 뜻이다. 아주 간단하긴 한데 그렇다면 나무가 아닌 덩굴, 즉 풀에서 자라는 [[수박]]이나 [[참외]], [[딸기]]는 채소인가 [[과일]]인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과일]] 중 상당수가 이 기준에 따르면 채소에 들어가야 한다. 이는 사람들의 상식과 영 맞지 않는다. 그 때문에 엄밀하게는 과일과 과실을 구분해서, 과즙이 풍부하고 단맛이 나는 식용열매를 과일로, 그밖에 수분이 많고 주로 신선한 상태로 먹는 식물은 채소로 본다.즉 수박이나 참외, 딸기는 과실은 아니지만 과일이라고 할 수 있다. 서양에서 아시아요리를 건강식으로 보는 주요한 이유가 바로 광범위한 채소의 사용이다. 서양에서는 소스를 만들 때 쓰거나 [[샐러드]], 삶은 야채와 같은 정도로 사용 폭이 좁으며 대체로 [[고기]] 요리에 딸려나오는 정도로 본다. 즉 [[샐러드]] 말고는 채소가 주연이 되는 요리가 별로 없으며, 샐러드 조차도 고기요리에 딸려 나오는 정도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아시아에서는 채소가 주연이 되는, 즉 [[고기]]나 [[해산물]] 없이 채소 또는 채소를 가공해서 만드는 요리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고기]]나 [[해산물]]을 쓰더라도 채소를 듬뿍 사용해서 조리하는 요리가 많이 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채소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