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웜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웜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벌레(worm)라는 뜻인데, 그 중에서도 기생충이라는 의미가 제일 적당할 듯하다. [[컴퓨터 바이러스]]와는 달리 자체 실행 능력과 번식 능력이 있는 악성코드를 가리켜서 컴퓨터 웜(computer worm)이라고 부른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자체 실행 능력이 없고, 다른 파일을 변조해서 [[기생]]하는 방식으로 살아간다. 실행 파일에 기생하면 그 숙주 실행 파일이 실행될 때 자신도 동작하고, [[숙주]] 파일이 다른 컴퓨터로 복사될 때 자신도 함께 복사된다. 현실 속의 바이러스도 그와 갈이 [[기생]]해서 살아가야 하는 존재다. 반면 웜은 스스로 실행될 수 있는 파일로 존재한다. 스스로 실행되고 스스로 [[네트워크]]를 타고 다른 컴퓨터로 침투하려고 한다. 벌레도 스스로 먹이를 잡아먹고 움직이면서 살아가는 것과 같은 것. <s>버러지 같은 웜, 벌레만도 못한 바이러스.</s> 바이러스는 다른 파일에 얹혀서 전파되는 수동적인 존재라면 웜은 스스로 네트워크를 타고 돌아다니면서 번식하는 농등적인 존재이므로 확산 속도로 본다면 웜이 빠르다. 예전에는 운영체제가 멀티태스킹도 잘 지원하지 않았고, 저장장치 안의 디렉터리 구조도 단순하고 파일의 개수도 적었으니 파일이 쉽게 눈에 뜨였다. 이럴 때에는 다른 실행 파일애 얹혀서 함께 실행되고 흔적이 덜 남는 바이러스가 선호되었다. 그러나 운영체제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고, 다렉터리 구조가 훨씬 복잡해지고 파일의 양도 엄청나게 많아져서 몸을 숨기기가 좋아진 지금은 독립된 프로세스로 실행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타고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웜이 선호되는 편이다. 다만 바이러스보다 발각되기도 쉬운데, 스스로 독립된 프로세스로 동작하므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반면 바이러스는 다른 프로세스에 꼽사리 끼어서 동작하므로 변조된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찾아야 해서 좀 더 까다롭다. 좀 더 정교한 웜은 [[루트킷]]과 같은 기법을 활용해서 자신의 정체를 숨기기도 한다. [[Category:컴퓨터 보안]] [[Category:악성코드]]
웜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