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밀크티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밀크티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Milk tea. [[홍차]] 음료의 한 종류로, 진하게 내린 [[홍차]]에 [[우유]]를 타 마시는 음료. 좀 더 진하게 하려면 아예 [[우유]]를 데워서 여기에 [[홍차]]를 바로 우려내기도 한다. [[설탕]]이나 [[꿀]]을 넣어서 달달하게 마시기도 하는데 일본에서 진하고 달달한 방향으로 발전시킨 게 로열 밀크티이고 [[홍콩]]은 연유를 넣어서 진하고 달게 만든 밀크티를 즐긴다. 그밖에도 여러 나라에서 설탕이나 꿀을 사용한 달콤한 밀크티를 마신다. 버블티 역시도 밀크티의 일종으로 아시아권에서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 1980년대에 [[대만]] [[타이중]]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타피오카]] 전분으로 만든 쫄깃한 펄을 밀크티에 넣어서 마신다. 우리나라에서 버블티 쪽으로 가장 잘 알려진 체인은 공차인데, 대만 디저트 열풍을 타고 대만 스타일 디저트 카페들은 물론 대만 체인점이 직접 진출하기까지 하면서 상당히 폭이 넓어졌고, [[카페]]에서도 밀크티나 버블티를 취급하는 곳들이 늘어났다. 최근에는 역시 대만에서 건너온 흑당을 넣은 밀크티가 유행을 타고 있다. 흑당에 펄까지 들어간 2단 콤보도 물론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인도]]에는 [[홍차]]에 [[계피]], [[정향]]을 비롯해서 여러 가지 향신료를 넣어서 우려내는 독특한 향미의 [[차이]]가 있는데 이 역시 밀크티로도 많이 마신다. [[스타벅스]]에도 차이라떼가 메뉴에 들어 있다. ==우유에 차를 부을 것인가 차에 우유를 부을 것인가?== [[탕수육]]계의 부먹찍먹 논쟁만큼이나 [[영국]]에서 밀크티를 둘러싼 해묵은 논쟁이 이것. 즉 차가운 [[우유]]를 잔에 붓고 그 위에 [[홍차]]를 부을 것인가, 반대로 [[홍차]]를 먼저 잔에 붓고 [[우유]]를 넣을 것인가 하는 논쟁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차]] 먼저 붓고 [[우유]]를 넣는데 어느 쪽이 과연 더 맛이 좋은가에 관해 오랫동안 논쟁이 있었다. 심지어 [[영국]]의 왕립화학회까지 나섰는데, 2003년에 정식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뜨거운 [[차]]를 먼저 붓고 [[우유]]를 부으면 [[우유]]가 빠르게 분산되어 차의 온도가 내려가기 전에 [[우유]]의 [[단백질]]이 더 많은 열을 받으며, 그에 따라 더 많이 변성된다고 한다. 즉, [[우유]] 먼저 붓고 [[차]]를 붓는 게 낫다고 한다.<ref>[https://www.theguardian.com/uk/2003/jun/25/science.highereducation "How to make a perfect cuppa: put milk in first"], The Guardian, 25 June 2003.</ref> 그런데 영국도 대다수 가정이나 사무실은 그냥 티백을 쓴다. 즉 뜨거운 물을 컵에 담고 티백을 담아 차를 우린 다음, 티백을 꺼낸 [[홍차]]에 취향에 따라 [[우유]]를 붓는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밀크티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