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솔즈베리 스테이크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솔즈베리 스테이크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Salisbury steak. 갈은 고기를 뭉쳐 모양을 스테이크처럼 잡은 후 조리한 음식. [[고기]] 말고도 [[빵가루]]<ref>[[크로켓]]([[고로케]])처럼 겉에 묻히는게 아니라 다진 고기와 함께 반죽하는데 쓰인다. 이렇게 하면 양을 부풀리는 효과도 있고 [[빵가루]]의 공기구멍이 반죽을 해도 어느 정도 남아 있어서 식감이 조금 더 부드러워지기도 한다</ref>, [[양파]], [[당근]]을 비롯한 다진 [[채소]]가 들어가기도 한다. 고기는 [[쇠고기]]를 쓰는 게 기본이지만 싸구려 제품이라면 살코기가 아닌 잡다한 부위나 [[돼지고기]], [[닭고기]]를 섞기도 한다. 비슷한 요리인 [[햄버그 스테이크]]와 종종 혼동되는데, 둘 다 갈은 고기를 주 재료로 [[스테이크]]처럼 뭉쳐서 만든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햄버그 스테이크]]는 기본적으로 고기만 들어가고 [[양파]]를 좀 넣거나 양념을 하는 정도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한국이나 [[일본]]은 솔즈베리 스테이크라는 이름 자체를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라 이것저것 퉁쳐서 다 [[햄버그 스테이크]]로 생각한다. 이름의 유래는 19세기 미국의 의사였던 제임스 솔즈버리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실제로 이 음식을 고안한 인물이기도 하다. [[채소]]와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가 건강에 나쁘다고 믿어 온 솔즈버리는 갈은 [[쇠고기]]와 [[양파]]를 주 재료로 굽거나 튀겨내는 음식을 생각해 냈고 이게 솔즈베리 스테이크의 기원이 된 것. 지금 관점에서 보면 비과학적인 의사가 만든 식생활이 대세가 된 게 은근 많다. 미국의 존 하비 켈로그 박사는 [[고기]]를 많이 먹으면 불필요한 성욕이 증가한다고 믿었는데, 이를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구하다가 만든 게 콘플레이크다. [[일본]]에서는 함바구(ハンバーグ)라는 이름으로 인기가 무척 좋고, 우리나라에도 일본식 함바구 전문점들이 늘고 있는 추세다. 후쿠오카함바그가 한국에서 장사 잘 하고 있는 대표적인 체인점.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햄버그 스테이크]]에서 온 말이지만 [[빵가루]]와 [[달걀]]을 반죽에 섞기 때문에 실제로는 솔즈베리 스테이크다. 은근히 조리하기가 까다로운 음식이다. 두툼한 두께가 있는 고기 요리이기 때문에 안쪽까지 잘 익히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빵가루]] 때문에 겉이 쉽게 탄다. 구워낸 [[스테이크]]에 거뭇거뭇하게 탄 곳이 있는 걸 보고 '뭐야! 태워 먹었잖아!' 싶을 수 있지만 솔즈베리 스테이크는 어느 정도 불가피하다. [[프라이팬]]으로 조리할 때에는 일단 약간 강한 불로 달군 팬에 기름을 두르고 구워서 모양을 잡다가 불을 약하게 낮추고 뒤집은 다음 뚜껑을 덮어서 수증기의 힘으로 찌듯이 구워내는 게 보통이다. [[그레이비 소스]] 또는 [[브라운 소스]]를 끼얹어서 내는 게 보통이고 일본식 함바구는 서니 사이드 업으로 만든 [[달걀 프라이]]를 올리는 게 기본이다시피 하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솔즈베리 스테이크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