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오리지널 그래비티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오리지널 그래비티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원래 오리지널 그래비티란 용어는 발효를 시작하기 전, 알코올이 없는 발효 원액의 비중, 곧 초기 비중을 뜻한다. 당분이 알코올로 바뀌면 용액의 비중은 점점 줄어드는데, 따라서 발효 전에 원액의 비중(오리지널 그래비티)을 측정한 다음 발효가 끝난 술의 비중인 파이널 그래비티, 곧 종료 비중을 재 보면 초기 비중과 차이를 통해 알코올 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두 가지 비중에 따른 알코올 도수를 [http://www.brewersfriend.com/abv-calculator/ 여기]서 계산해 볼 수 있다. 주로 [[맥주]]에서 많이 쓰이는 개념이다. 이 용어가 우리에게 친숙해진 것은 [[클라우드]] 맥주가 덕분. 그런데 좀 다른 의미로 쓰고 있다. [[클라우드]]맥주를 만드는 [[롯데칠성음료]]에서는 발효된 맥주 원액에 물을 타지 않은 공법을 오리지널 그래비티라고 광고하고 있는데, 이렇게 얘기하니까 아, 농도가 참 짙은 맥주겠구나, 다른 맥주는 물을 탔어? 그러니까 희석한 거야? 하고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 [[맥주]]는 양조 과정에서 어차피 물을 따로 넣어야 한다. 물을 따로 안 넣어도 이미 수분이 충분하게 들어 있으므로 그냥 [[과즙]]을 짜서 담으면 되는 [[와인]]과는 달리, 맥주의 원료인 곡물에는 수분이 별로 없다. 따라서 물을 넣어서 발효하게 되는데 발효 전에 물을 넣으나, 발효가 끝나고 물을 넣으나 결국 조삼모사가 될 수 있다. 발효 후에 물을 넣는 이유는 발효 원액의 당분 농도가 진한 쪽이 효모가 더 왕성하게 발효를 할 수 있므로 초기에 알코올이 빨라 만들어져 잡균이 낄 여지가 적고 발효가 잘 되기 때문이다. 발효 전에 미리 최종 제품의 농도를 계산하고 물 양을 맞추거나. 발효가 끝나고 물을 넣어서 농도를 맞추거나 기본적으로는 그게 그거다. 다만. 오리지널 그래비티 공법 쪽이 좀 더 신경써서 미리 물의 양을 맞추고 발효에 신경 써야 하므로 그 점은 인정해야 할 듯. 아무튼 오리지널 그래비티 공법이라고 해서 농도가 진한 건 절대 아니다. 결국 물을 얼마나 탔느냐 하는 양이 중요한 거지 시기가 중요한 게 아니다. 실제로 시판되는 올 몰트 비어의 맥즙 함량을 측정해 보니 [[클라우드]]보다 [[프리미어 오비]]가 더 높게 나왔다. 자세한 내용은 [[프리미어 오비]] 항목 참조. [[클라우드]] 맥주 쪽에서는 자기들 공법은 오리지널 그래비티고 발효가 끝나고 물 탄 맥주는 하이 그래비티 공법이라고 하는데 틀린 얘기다. 하이 그래비티는 그냥 초기 원액에 [[당분]]이 많아서 [[알코올]] 도수가 높게 나오는 맥주를 뜻한다. 곧 [[알코올]]을 따로 넣어서 도수를 높인게 아니라 원래 높은 도수로 발효된 맥주를 뜻하는 용어. 물론 하이 그래비티에 물을 타서 도수를 내리면 [[클라우드]]가 주장하는 다른 한국 회사들의 맥주가 되겠지만. 아무튼 일종의 리포지셔닝 전략으로 [[클라우드]]가 초기 시장에 빠르게 정착하는 데 꽤 공헌한 개념이긴 한데, 원래의 뜻이 좀 왜곡되어 버리긴 했다. [[Category:술]] [[Category:맥주]]
오리지널 그래비티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