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치즈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치즈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우유]]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키고 굳힌 것. [[요구르트]] 굳힌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우유]]의 처리, 사용하는 [[유산균]]과 [[곰팡이]], 제조법, 숙성법, 첨가 재료, <s>방부제와 식용색소</s>에 따라 [[유럽]]을 중심으로 수천가지 종류의 치즈가 있다. 자주 나오는 [[떡밥]] 중 하나가 [[치즈]]와 [[와인]]의 궁합이다. 치즈야말로 와인과 가장 잘 어울리는 [[안주]]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언제부터인가 몇몇 '전문가' 타이틀 단 사람들이 '뭔 소리냐 와인에 치즈는 꽝이다' 하고 주장하고 나섰다. 예를 들어 [[와인]]에 관한 만화책 <와인의 세계, 세계의 와인>을 낸 이원복은 <경향신문>의 언론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와인]]하고 [[치즈]]를 같이 먹는 서양 사람은 본적이 없어.'라고 말했다. <s>그래서 사람은 인간관계가 폭넓어야 한다.</s> 이런 종류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치츠를 먹으면 와인의 맛이 사라져버린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치즈의 지방이 혀를 코팅해 버려서 와인의 맛을 제대로 못 느낀다는 것. 그럴싸해 보이지만 조금만 생각해 보면 둘 다 뻘소리다. 치즈 말고 다른 것도 별로 다를 바가 없기 때문. 첫 번째 논리에 대해서는, [[와인]]을 마시고 음식을 먹으면 다 그렇다. 온전히 와인의 맛을 감상하려는 목적이라면 [[안주]]를 아예 안 먹는 게 답이다. 실제로 [[와인]] 시음 제대로 할 때는 물이나 [[워터크래커]] 정도 나오는 게 다다. 두 번째 논리에 대해서는, 그런 식이라면 기름진 음식들도 다 마찬가지다. [[버터]]를 듬뿍듬뿍 넣은 [[프랑스요리]], [[푸아그라]], [[올리브유]], 다 탈락이다. 사실 일부 전문가들이라는 사람들이 관심을 끄는 방법 중 하나가 많은 사람들의 통념을 부정하고 너네들 속고 있었어! 하고 <s>어그로를 끄는</s> 주장하는 것이다. 그냔 편하게 치즈 먹자. 그냥 즐기면 된다. 우리 인생에 엄청난 궁합 따져야 할 정도로 심각하게 비싼 와인 마실 일이 몇 번이나 있겠나. 다만 먹어보면 치즈에는 화이트 와인 쪽이 더 잘 맞는다는 건 쉽게 느낄 수 있다. 특히 부드럽고 크림 같은 치즈일수록 더욱 화이트 와인이 당긴다. 치즈가 있다면 [[워터크래커]]나 빵 정도는 같이 준비하자. 빵을 내려면 단맛 없는 흰빵이 가장 낫다. 반경성이나 경성 치즈는 레드 와인과도 잘 어울린다. 영문으로 검색해 봐도 와인과 치즈 궁합에 관한 글은 수없이 쏟아져 나온다. <s>그러니 서양 사람들 사귈 때는 치즈 정도는 살 능력이 되는 사람을 사귀자.</s>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틀:관용구:이하생략
(
원본 보기
)
치즈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