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매직 커피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매직 커피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Magic coffee.jpg|upright 1.5|섬네일|없음]] Magic coffee. [[에스프레소]]와 [[스팀 밀크]]로 만드는 [[커피]] 음료로, [[호주]] [[멜버른]]을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멜버른]] 일대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커피]] 음료. 같은 호주라도 멜버른이 속한 빅토리아 주 바깥으로 나가면 보기도 힘들고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카페]]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리스트레토]] 2샷, [[스팀 밀크]]와 위에 얇게 올려주는 마이크로폼을 합쳐서 총 160ml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널리 알려진 레시피다.<ref>5온스(대략 150ml) 또는 6온스(대략 180ml) 잔을 사용하는 레시피도 있다. 조금 큰 잔을 사용하면서 일부러 꽉 채우지 않게 만들어서 내는 카페도 있다.</ref> [[호주]]에서는 보통의 [[에스프레소]]를 30ml, [[리스트레토]]는 20ml가 되도록 추출한다. 즉 [[리스트레토]] 2샷이면 40ml가 들어간다. 여기에 [[스팀 밀크]]를 부어주고 마이크로폼을 얇게 올리므로<ref>대부분은 얇게라도 올리지만 아예 안 올리는 경우도 있다. 라떼 아트까지 해 주는 [[카페]]도 많으며 그러면 마이크로폼이 약간 더 들어간다.</ref> 스팀 밀크가 대략 120ml 정도 들어가면 마이크로폼의 양에 관계 없이 160ml 정도의 매직 커피가 완성된다.<ref>[https://www.melbournecoffeebeans.com/blogs/news/how-to-make-a-magic-coffee "How to Make a Magic Coffee in Minutes: A Simple Guide"], Melbourne Coffee Beans, 9 July 2024.</ref> 다만 멜버른 시내의 카페에서 매직 커피를 주문하면 플랫 화이트와 같은 용량의 잔에 담겨 나오는데 맛은 플랫 화이트와 확실히 다르다. 아마도 매직 커피의 레시피를 기준으로 전체 양은 플랫 화이트와 비슷하게 맞추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음료와 비교했을 때== 매직 커피의 모습이 [[호주]] 하면 떠오르는 커피 음료 중 하나인 [[플랫 화이트]]와 상당히 비슷해서 종종 비교 대상이 되는데, 스팀 밀크와 마이크로폼만 쓴다는 면에서는 비슷하지만 자세한 레시피를 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다. 먼저 [[플랫 화이트]]는 [[에스프레소]] 1샷을 사용하지만 매직 커피에는 [[리스트레토]] 더블 샷이 들어간다. [[커피]]의 양으로 보면 매직 커피가 좀 더 많이 들어가지만 [[리스트레토]]의 추출시간이 짧기 때문에 쓴맛은 오히려 약간 적은 편이며, 또 그렇게 만들어야 제대로 된 매직 커피다. 또한 매직 커피 쪽이 [[커피]] 대비 [[우유]]의 비율이 적으므로 커피맛을 더 진하게 느낄 수 있다. 다만 [[멜버른]] 일대의 [[카페]]에서 주문해서 머그잔에 담겨 나온 것을 보면 [[플랫 화이트]]와 같은 용량의 잔을 쓰는 곳이 대부분이라 둘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ref>[[플랫 화이트]]와 [[카페 라테]]도 종종 '둘 사이의 차이가 대체 뭐냐, 그게 그거 아니냐'는 논란이 있는데, 매직 커피는 [[플랫 화이트]] 또는 라테와는 몇 가지 분명한 차이가 있다.</ref> 그러나 마셔 보면 딘박에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스페인에서 많이 마시는 [[코르타도]]와 비교하는 경우도 있는데, [[플랫 화이트]]와 비교했을 때의 차이보다도 더 크다. 이쪽은 [[에스프레소]] 2샷에 같은 양의 [[스팀 밀크]]를 넣으며, 따라서 전체 양이 대략 120ml 정도로 매직 커피보다 양이 적다. 코르타도는 [[리스트레토]]가 아닌 보통의 [[에스프레소]]를 더블샷으로 쓰므로 커피맛이 훨씬 강하며 쓴맛도 강하다. 원조인 스페인에서는 거품은 안 쓰는 게 원칙히지만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면서 거품을 쓰기도 한다. ==그밖에== [[멜버른]] 사람들이라면 잘 알고 있는 음료지만 막상 [[멜버른]] 일대 [[카페]]의 메뉴를 보면 'magic'이 올라 있는 것을 의외로 보기 어렵다. 그런데 [[바리스타]]한테 매직 커피 되냐고 물어보면 십중팔구는 '물론이지!' 하면서 만들어 준다.<ref>주문할 때는 ‘magic’이라고만 하면 된다.</ref> 즉 [[멜버른]] 사람들끼리만 아는 음료라는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이제는 매체를 타고 슬금슬금 알려져서 외지인들에게도 점점 인지도를 얻어 가고 있다. 그래도 [[멜버른]] 지역 바깥으로 나가면 같은 [[호주]] 사람들조차도 아는 사람도 적고 파는 [[카페]]는 더더욱 보기 힘들다. [[멜버른]] 안에서도 [[카페]] 메뉴에 안 적어놓고 '아는 사람만 마셔라'는 식인데 하물며 그 바깥으로 나가면야. 매직 커피의 특징으로 [[멜버른]] [[바리스타]]들은 종종 '스위트 스폿(sweet spot)', 즉 [[커피]]와 [[우유]]의 최적 비율이 매직 커피라고 이야기한다. 물론 기호 음료인만큼 개인차가 있게 마련이지만 많은 [[멜버른]] [[바리스타]]들이 그렇게 생각한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매직 커피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