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구제금융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구제금융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위기에 빠진 대상을 구해주기 위해서 긴급하게 지원해 주는 자금을 말한다. 대표적인 것이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어떤 국가가 외환보유고가 바닥이 나서 국제적으로 결제를 해 줘야 할 달러가 부족하면 나라가 부도나는 사태, 곧 [[국가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이럴 때 긴급하게 미국 달러를 빌려주기 위해서 만들어진 게 [[IMF]]다. 당연한 얘기지만 이런 정도까지 갔다면 나라가 거의 거덜났다는 뜻이다. 우리나라도 1997년 외환위기를 맞으면서 [[IMF]] 구제금융을 받은 쓰라린 과거가 있다. 그밖에도 기업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거나 할 때에도 [[채권]]을 가진 금융기관에서 긴급 자금지원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 구제금융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IMF]] 같은 곳이 착해서 이런 일을 하는 것은 아니다. [[달러화]]든 [[유로화]]든 [[기축통화]] 구실을 제대로 하려면 이를 사용하는 나라들에 충분한 [[외환보유고]]가 있서서 국제 결제에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만약 어떤 나라가 [[기축통화]]가 없어서 결제를 못하면, 곧 [[부도]]가 나면 그 나라도 문제지만 국제적으로 볼 때에도 [[기축통화]]의 안정성에 상처를 입힌다. 따라서 [[기축통화]]가 안정된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구제금융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세상에 공짜는 없다. 구제금융을 받게 되면 돈을 빌려준 곳은 [[슈퍼 갑]]이 되어 갖가지 간섭을 하게 된다. 엄청나게 강도 높은 구조조정은 기본이다. 2015년 [[그리스]]의 [[디폴트]] 사태는 과연 현재의 구제금융 방식이 정말로 위기 탈출을 위한 현명한 방식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도한 [[복지]]나 [[포퓰리즘]] 타령을 늘어놓고 있지만 그리스의 복지 지출은 유럽권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오히려 부자들의 탈세와 부패, 거대한 지하경제 규모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게다가 구제금융 이후 강요되어 온 긴축정책이 그리스 경제를 위축시키고 오히려 회복 불능 상태로 만든 원흉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구제금융으로 들어간 돈이 그리스의 경제를 살리는 데 쓰이기보다는 민간 부채를 갚는 데 나간 것도 문제다. 그리스에 제공된 구제금융 2,520억 유로 가운데 92%가 독일, 프랑스를 비롯한 민간은행으로 나가버렸다. [[Category:경제]] [[Category:금융]]
구제금융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