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CYMK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CYMK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컬러 인쇄]]에 쓰이는 기본 색상. CYMK는 각각 C(Cyan, 청록색), Y(Yellow, 노란색), M(Magenta, 자홍색), K(Key, 검은색)을 뜻한다. 미술시간에 배운 물감의 3원색은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이다. 이 세 가지를 적당하게 섞으면 어떤 색깔이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세 색깔을 모두 섞으면 검은색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런데 인쇄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색깔은 검은색이다. 대부분의 글자는 검은색으로 인쇄하기 때문이다. 검은색 잉크가 다른 색깔의 잉크보다는 값이 싸다. 그러니 세 가지 색깔의 물감을 섞어서 검은색을 만드는 것은 너무 낭비가 심하고 차라리 검은색을 따로 두는 게 훨씬 낫다. 또한 막상 3원색을 섞어서 검은색을 찍어보려고 하면 완전 시커멓게 나오지 않는다. 나중에 얘기하겠지만 인쇄에서는 물감이 완전히 섞이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CYMK에서 검은색을 뜻하는 글자가 B(Black)이 아니라 K(Key)인 이유는 인쇄에서 검은색이 가장 중요하고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K를 Black의 끝 글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B는 많은 사람들이 Blue(파란색)로 알고 있으므로 K로 쓴 것이라는 논리다. 사실 [[컬러 인쇄]]는 물감을 섞는 게 아니다. 컬러를 CYMK로 분리한 다음 각 색깔로 한 번씩, 총 네 번을 종이에 아주 촘촘하게 점을 찍듯이 찍는다. 그래서 컬러 인쇄를 흔히 4도 인쇄라고도 한다. 촘촘하게 점을 찍듯이 인쇄하는 것을 망점 인쇄라고 하는데, 아주 촘촘하게 찍한 각 색깔의 점끼리 빛의 간섭을 일으켜서 우리 눈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색깔들로 보이는 것이다. 색깔의 조절은 CYMK 각각의 점 크기를 얼마나 크게 하느냐로 조절한다. 따라서 [[컬러 인쇄]]를 할 때에는 분판이 필수다. 요즘은 전자출판의 시대니, [[인디자인]]이나 [[쿼크익스프레스]] 같은 프로그램으로 책이나 유인물 작업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 마지막 단계에서는 분판된 PDF로 만들어서 인쇄소에 보내야 한다. 예를 들어 컬러 사진을 넣었다면 분판 단계에서 이 사진이 CYMK 4개 기본 색깔로 색분해가된다. 따라서 각각 CYMK에 해당되는 네 개의 PDF가 만들어지고, 인쇄소에서는 각각의 PDF를 가지고 오프셋인쇄기에 걸 원판을 만든 다음, 종이에 차례대로 찍어낸다. 즉, CYMK 색깔을 각각 한 번씩, 총 네 번 같은 종이에 찍어야 한 장의 컬러 인쇄물이 만들어진다. 모니터 화면은 빛의 3원색인 [[RGB]] 컬러 모델을 쓴다. [[RGB]]는 섞으면 점점 밝아져서 결국 흰색이 되는 가산혼합 방식이고, CYMK는 섞으면 점점 어두워져서 결국 검은색이 되는 감산혼합 방식이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화면에 보이는 사진을 그냥 인쇄하면 화면보다 어둡게 나온다. 이 때문에 컬러 인쇄를 할 때에는 본격적으로 우다다다... 찍기 전에 컬러 교정을 본다. 시험 삼아서 한 장 뽑아본 다음에 색감이 원하던 대로 나왔는지, 어떤 부분을 어떻게 보정하면 좋을지를 확인하고 반영한다. 노련한 출판 디자이너나 인쇄 기술자는 이러한 차이를 잘 알고 잘 보정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컬러 인쇄 결과를 뽑아낸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CYMK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