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레드 와인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레드 와인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붉은색]] 계통의 빛갈을 띠는 [[와인]]. '레드 와인'이라고 하면 좁은 의미의 [[와인]] 곧 [[포도주]]를 뜻하는 게 보통이다. 옅은 분홍빛을 띠는 것은 [[로제 와인]]이라고 하며 레드 와인과는 구분된다. 양조를 할 때 포도를 으깬 다음 껍질까지 함께 넣는다. 껍질에서 배어나오는 색소가 와인을 붉은색 계통으로 물들인다. 물론 [[적포도]] 품종으로 담아야 한다. 흔히 와인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 각종 연구 결과는 레드 와인에 대한 것이다. =제조법= ==양조== 양조에 쓰이는 탱크는 보통 금속제 또는 시멘트로 만든 것을 쓴다. ===펀칭=== 양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껍질이나 과육이 위로 떠오르게 되는데, 그대로 놔두면 썩을 위험이 있으므로 한번씩 가라앉혀 주어야 한다. 양조 탱크 위에서 도구를 써서 표면애 떠오른 포도 건더기를 때려서 가라앉힌다. 이를 펀칭(punching)이라고 한다. 힘도 많이 들지만 위험한 작업이기도 하다. 발효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탱크는 엄청난 [[탄산가스]], 곧 [[이산화탄소]]를 뿜어내는데 잘못하면 뿅 가서 산소 부족으로 쓰러질 수도 있다. ==숙성== 아주 싸구려 [[와인]]아 아니면 [[오크통]]에 숙성을 한다. [[오크통]]은 와인의 질이나 향미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다. 고급 [[와인]]일수록 새 [[오크통]]을 쓰고, 저렴한 [[와인]]일수록 썼던 [[오크통]]을 쓴다. 보통 한 메이커에서 여러 가격대의 [[와인]]을 만들므로 새 [[오크통]]으로 고급 [[와인]]을 숙성시킨 다음 재활용해서 그보다 낮은 가격대의 [[와인]] 숙성에 쓴다. [[오크통]]도 블렌딩을 한다. 예를 들면 일부는 [[프랑스]]산 오크통으로, 일부는 [[미국]]산 오크통에 숙성시키거나. 일부는 새 [[오크통]], 일부는 썼던 [[오크통]]에 숙성하는 식이다. 여러 가지 오크통에 숙성시킨 와인을 병입하기 전에 블렌딩한다. [[오크통]] 안쪽을 불로 그을려서 잡균을 없앤다. 얼마나 그을릴지도 와인 향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값싼 와인은 [[오크통]] 쓰기는 그렇고, 그렇다고 오크향은 좀 내야겠고, 해서 다음과 같은 편법을 쓴다. * <s>전녀</s>오크를 분쇄한 오크칩을 넣어서 양조하고 건져낸다. 오크통 쓰는 것보다 나무를 훨씬 절약할 수 있다. * 대형 스테인리스 발효통 안쪽에 오크 나무를 붙인다. 완전 얇게 붙여도 되니 이 역시 절약효과. * 아예 그냥 오크 추출액을 넣어서 해결한다. <s>오크맛 와인</s> ==블렌딩== 여러 품종의 [[포도]]로 양조하는 와인 가운데는 품종별로 따로따로 양조 및 숙성을 한 뒤에 블렌딩을 하기도 한다. 숙성 단계에서 통을 옮겨 담으면서 블렌딩한 다음 길게 숙성하기도 하고, 숙성이 완전히 끝난 다음에 큰 통에서 블렌딩을 하고 마지막으로 잠시 숙성시키기도 한다. 같은 품종이라고 해도 오크통을 다른 것을 쓰거나 해서 숙성한 다음 블렌딩하기도 한다. [[Category: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레드 와인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