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혼성금융상품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혼성금융상품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hybrid financial instrument. 금융상품의 일종으로, 관점에 따라서 이렇게도 저렇게도 볼 수 있는 상품이다. 예를 들어, 어떤 관점에서 보면 주식이지만 어떤 관점에서 보면 채권인 식이다. 이렇게 관점에 따라서 같은 금융상품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을 혼성불일치(hybrid mismatch)라고 하는데, 이를 이용해서 [[조세회피]] 수법으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신종자본증권]]은 어떤 나라의 세법에서는 채권으로 간주하지만 또 어떤 나라에서는 주식으로 간주한다. 각 상품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이를 이용해서 조세회피가 가능하다. A라는 글로벌 기업이 S국가와 T 국가에 각각 B와 C라는 자회사를 만들었다고 가정하자. A 기업은 해외에서 발생한 매출을 B로 몰아주고, C는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한다. 이 증권을 B가 매입한 다음, 정기적으로 이자를 받는다. 문제는 B 자회사가 있는 S 국가에서는 [[신종자본증권]]을 [[주식]]으로 간주하는 반면, T 국가에서는 이를 [[채권]]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다음과 같이 조세회피가 가능하다. * B 자회사가 C 자회사로부터 받은 이자는 S 국가의 세법상으로는 [[배당소득]]이 된다. [[신종자본증권]]이 주식이기 때문이다. 많은 나라에서는 [[배당소득]]에 대해 비과세 또는 일반적인 [[소득세]]보다 훨씬 낮은 세율을 적용하므로 세금이 대폭 깎인다. * C 자회사가 B 자회사에게 지급한 이자는 T 국가의 세법상으로는 [[채권]]에 대한 이자가 된다. 따라서 소득 공제가 가능하다. 물론 [[신종자본증권]]도 부채로 잡힌다. 이를 이용해서 세금을 대폭 절약할 수 있다. 이렇게 S와 T 국가 양쪽으로부터 상당한 세금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정직하게 해외 매출을 A 기업이 가졌을 때보다 세금이 훨씬 줄어든다. [[Category:금융]]
혼성금융상품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