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김길수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김길수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불심으로! 대동단결!" 2002년 대통령선거에서 국태민안호국당(줄여서 호국당) 후보로 출마했던 승려. 공식 직함으로는 세계불교법왕청 산하에 있는 서울 관악구 봉천동 소재 법륜사 주지였다. 하지만 기존 [[불교]] 교단과는 관련 없는 사이비 종교라는 게 불교계의 입장. 공식적인 승적도 없다. “역대로 큰스님들은 국난 때 사회참여를 주저하지 않았다”는 게 출마의 변이었다. <del>자칭 큰스님이라고 과시하기 위해 출마했다는 소리.</del> 최근에는 거의 사라졌지만 예전에는 대통령 선거 때마다 정체불명의 <del>듣보잡</del> 인물이 출마하곤 했는데, 그 중 일부는 사이비 종교의 교주였다. 출마를 하려면 기탁금도 들고 선거운동을 위한 비용도 들지만 이를 통해서 자기 종교의 세를 과시할 수 있어서 더 많은 신도를 끌어모으거나 기존 신도로부터 더 많은 돈을 뜯어낼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남는 장사였다고. 아무튼 당시 기탁금 5억 원은 신도들이 십시일반해서 모았다고 한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163548 "<nowiki>[대선후보] 김길수씨는 누구?</nowiki>"], <한국일보></ref> 40년 전에 출가했고 1970년에는 육군 7사단에서 하사로 병역을 마쳤으며, 88년 필리핀 콘티넨탈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는 게 그의 이력. 출마 당시 때부터 굉장히 센세이션을 일으켰는데, 남들처럼 출마 선언을 하고 현충원 참배를 간 게 아니라 6일 동안 동안거에 들어갔다. "큰 일을 앞두고 몸가짐을 단정하게 하기위한 것"이었다고. 특히 2002년 대선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군소후보 토론회는 김길수의 포스를 보여주는 절정이라 할 수 있다. 법복을 입고 나온 것은 그렇다고 치더라도, 대선후보 토론장에 [[선글라스]]를 쓰고 나온 것은 사상 초유.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듯. 일단 비주얼로도 확 관심 집중에다가 삐딱하게 앉아서 굉장히 성의 없는 듯이 툭툭 던지는 말들, 얘기 하다가 잘 안 풀리면 볼펜을 집어던지기도 하는 그의 포스는 정말 압권이었다. 쉽게 말해서 [[허경영]] 조차도 김길수의 포스에 눌려 존재감을 상실할 정도였다. 아마도 대선에서 [[허경영]] 이상의 미친 (정말로) 존재감을 발휘했던 사람은 김길수 말고는 없을 듯. 법조인 출신으로 5공과 6공 당시 집권여당이었던 민주정의당의 실력자 중 한 명이었으며, 6공 때는 국무총리까지 지냈고 당시 하나로국민연합의 총재였던 이한동도 군소후보 신세가 되어 토론회에 나와 있었는데. 김길수의 압도적인 비주얼과 기행, 그 아래에서 어떻게든 존재감을 찾아보려고 하던 허경영과 같은 후보들의 모습을 보고 거의 똥씹은 표정을 지었다. <del>내가 그래도 한 때 일국의 총리를 지낸 몸인데. 어찌 이런 정신 나간 인간들과 같은 테이블에...</del> 포스터 역시 당시 대선에서 가장 유명한 전설이 되었다. [[파일:Gimgilsu poster.jpg|300px|없음]] 워낙에 포스터의 존재감이 강력했기 때문에 디시인사이드를 비롯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패러디 합성이 넘쳐났다. 예를 들어, [[파일:Gimgilsu parodies.png|600px|없음]] 원본 포스터를 보면 알겠지만 "불심으로 대동단결!"이 아니라 "불심으로! 대동단결!" 두 개 문장이다. 라디오 광고도 아주 미친 개성을 자랑해서, 남자와 여자가 계속해서 '불심으로 대동단결' 멘트를 되풀이하는데 듣다 보면 정신이 왠지 몽롱해진다. <del>최면을 걸어서 자기를 찍게 만드는 고도의 수법일지도 모른다.</del> 결과야 말할 것도 없다. 0.2% 득표를 했는데 그래도 5위로 꼴찌는 안 했다. 꼴찌는 사회당 김영규 후보. 선거 후 잊혔던 그의 이름이 다시 나온 것은 그로부터 1년 반 뒤. 정치면이 아니라 사회면에 나왔고, 대선 후보나 정치인이 아니라 사기범으로 등장했다. 신도의 소개로 알게 된 모 인사에게 "[[대통령]]에 당선되면 [[국회의원]]과 [[국무총리]]를 시켜주겠다"면서 대선후보 등록금과 선거자금 명목으로 6억원을 받았고, "전남 일대에 세계법왕청을 건립해 복지 및 영리사업을 하자"고 꼬드겨서 2년 동안 74억여원을 받아 가로챘다고 한다. 여기에 더해서 [[신용카드]]를 빌려다가 1억9천만원을 썼으니까 모두 해서 88억 원을 뜯어낸 혐의로 구속되었다.<ref>[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000000/2003/08/005000000200308210038458.html 호국당 대선출마 김길수씨 사기혐의 구속], <한겨레신문> 2003년 8월 21일</ref> <del>이런 뻥을 친 사람보다 이런 소리를 듣고 64억이나 준 사람이 더 이상한 거 아닌가?</del> 채판 결과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 받았다. [[집행유예]]로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형량이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합의가 되었으나까 그나마 이 정도였던 거지 합의 안 됐으면 꽤나 오래 감방에서 썩으셨을 듯.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김길수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