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MTA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MTA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Mineral Trioxide Aggregate(무기물 트리옥사이드 집합체). 치과에서 쓰는 충전재 중에 하나. 쉽게 말하면 포틀랜드 시멘트<ref>우리가 흔히 아는 시멘트의 정식 이름이다.</ref>에서 인체에 쓰기에 적합하지 않은 성분을 제거한 것. 역시 시멘트의 성질을 거의 그대로 가지고 있다. 가루 형태로 되어 있고 물에 개어서 치아 안의 빈 공간에 채워 넣으면 안에서 단단하게 굳는다. 쉽게 말해서 이빨 안에 공구리 치는 거다.<ref>정확히 말하면 공구리, 즉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물, 모래와 자갈을 섞은 것이다. MTA는 [[시멘트]]와 물만 사용한다.</ref> 오랫동안 치과에서는 거터퍼처를 널리 사용해 왔고 그 효과와 안전성은 충분히 검증되어 왔다. 하지만 몇 가지 한계나 단점이 있는데 이를 보완하는 재료로 가장 주목 받는 게 MTA다. 하지만 이 녀석도 나름대로의 단점이 있어서 GP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아니며 GP를 쓸 수 없거나 적절하지 않을 때 대안으로 사용하는 재료라고 보는 게 적절하다. 하지만 예전 같으면 신경차료로는 답이 없어서 이를 뽑아야 했던 것을 이를 뽑지 않고 치료할 수 있거나, [[신경치료]]에 한달 두달이 걸리던 일부 까다로운 케이스에 치료 기간을 대폭 단축시켜주기도 하므로 치과 치료 발전에 의미 있는 재료인 것은 분명하다. ==장점== [[시멘트]]는 기본적으로 강한 알칼리성을 띤다. pH 7이 중성인데 시멘트는 무려 pH 11~12 까지 간다. MTA도 이 성질을 이어받는데 이게 GP로는 해결이 잘 안 되는 중요한 문제 하나를 풀어준다. 바로 세균 억제. [[신경치료]]는 감염된 신경과 혈관, 즉 치수를 제거하고 그 자리를 충전재로 채우는데 이 과정에서 세균이 꼽사리를 낄 가능성이 있다. 물론 신경치료 과정에서 정말 열심히 열심히 소독을 하지만 100%란 없다. 그래서 최대한 소독을 하고 꼽사리 끼는 약간의 새균은 인체의 저항력으로 잡아주소서... 하는 게 [[신경치료]]의 콘셉트다. 그런데 세균이 이긴다면? 충전재와 크라운으로 밀봉된 그 아래는 완전 지들 세상이 될 수도 있다. 세균은 강산성이나 강알칼리성 환경에서 살기 힘들다. ==단점== 이놈이 너무 단단하게 안을 꽉 채우는 게 문제가 되기도 한다. [[신경치료]]를 한 치아가 문제가 생겼을 때에는 [[크라운]]과 충전재를 걷어내고 다시 [[신경치료]]를 해야 할 수 있는데 MTA는 걷어내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GP로 채웠으면 재[[신경치료]]가 되는 게 MTA로 채웠으면 그냥 이를 뽑아야 할 수도 있다. 다루기가 까다롭다는 것도 단점. 원래 출신성분이 [[시멘트]]인만큼 가루로 된 것을 물에 개서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방울이 들어갈 수가 있다. 만약 공기방울이 남아 있는 채로 그냥 이에 채워넣으면 강도를 크게 떨어뜨리거나 틈을 만들어서 세균이 쳐들어갈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준다. 그렇게 되면 앞에서 말한 지나치게 단단한 문제 때문에 그냥 이를 뽑아버려야 할 수도... 따라서 결과가 의사의 기술에 좌우될 여지가 많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Ambox
(
원본 보기
)
틀:Ambox/핵심
(
원본 보기
)
틀:Medical
(
원본 보기
)
틀:각주
(
원본 보기
)
MTA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