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면세점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면세점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면세, 즉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상점. 물건을 살 때 이것저것 붙은 세금, 예를 들어 [[부가가치세]]나 소비세, 주세, 담뱃세 같은 것들을 내지 않고 물건을 살 수 있는 상점. 1947년에 브렌든 오리건(Brendan O'Regan)이 [[아일랜드]] [[섀넌국제공항]]에 만든 게 최초의 면세점이다. 오리건은 [[섀넌공항]]의 환승 과정에서 면세점 아이디어를 생각했다. 지금이야 [[미국]]에서 [[유럽]] 어느 도시든 논스톱으로 충분히 갈 수 있지만 그 때는 비행기의 항속 거리가 훨씬 짧았고, 그래서 [[미국]]과 [[유럽]]을 오가는 많은 승객들이 미국에서 가장 가까운 국제공항인 [[섀넌공항]]에서 갈아타거나 항공기 급유를 하는 동안 내려서 기다렸다가 다시 타기도 했다.<ref>지금도 [[런던]]에서 [[뉴욕]]으로 가는 [[영국항공]]의 BA001 편은 급유 문제로 [[섀넌공항]]에 기착한다. 다만 비행기 자체의 항속거리가 딸려서 그런 게 아니라 이륙지인 [[런던시티공항]]의 활주로가 짧아서 이륙 중량 문제로 연료를 가득 못 채우는 것. 이 사이에 승객들은 [[섀넌공항]]에서 미리 [[국]] 입국심사를 받고 [[뉴욕]] [[JFK공항]]에서는 국내선처럼 바로 나갈 수 있다. 반대로 [[뉴욕]]에서[[ 런던]]으로 오는 BA002는 논스톱이다.</ref> 자, 예를 들어, 미국에서 출발해서 이탈리아로 가는 승객이 아일랜드에서 환승 때문에 비행기에서 내렸다고 가정하자. 환승 승객이니까 [[아일랜드]]에 입국한 것도 아니고, [[미국]]이나 [[이탈리아]]에 있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어디에도 납세 의무가 없다. 이 승객이 물건을 산다면? 세금을 낼 필요가 없다. 여기서 오리건이 생각한 아이디어가 면세점. 섀넌공항을 설득해서 최초의 면세점을 연다. 이 분야의 세계 최대 회사는 [[홍콩]]에서 설립된 DFS(Duty Free Shoppers)로 아마도 해외 여행을 다니다 보면 외국 공항에서 DFS 로고를 자주 볼 수 있을 것이다. 주요 공항의 면세점은 물론 시내에도 세계 주요 도시에 갤러리아스토어(Galleria Store)<ref>갤러리아백화점과는 관계 없다.</ref>를 운영하고 있다.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면세점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