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가지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가지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가지목 → 가지과 → 가지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 [[채소]]. 학명은 Solanum melongena L.이다. 영어에는 eggplant와 aubergine이라는 두 가지 단어가 있다. 전자는 주로 [[미국]]에서, 후자는 주로 [[영국]]에서 쓰인다. 한자로는 가(茄)·가자(茄子)라 한다. ==음식==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볶아서 [[나물]]처럼 먹는다. # 가지를 적당한 크기로 자른다. [[호박]]처럼 그냥 직각으로 썰 수도 있고, 손가락 크기 정도로 큼직하게 자른 다음, 길이 방향으로 4등분 혹은 6등분 정도로 해서 길게 썰어내기도 한다. # [[양파]]는 채썰고, [[마늘]]은 다진다. #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먼저 [[양파]]와 [[마늘]]을 넣고 볶다가, [[양파]]가 숨이 죽으면 가지를 넣고 [[진간장]]을 적당히 뿌려준다. # 볶는다. 가지가 숨이 죽고 축 늘어질 정도까지 볶아주면 된다. 그런데 이렇게 볶은 가지[[나물]]은 흐물흐물하고 물컹한 식감 때문에 호불호가 엇갈리는 편이다. 볶는 것 말고도 쪄낸 다음에 무쳐서 먹는 방법도 있다. 굽거나 튀겨먹으면 흐물흐물한 느낌이 덜하다. [[파일:Disanxian.jpg|upright 1.5|섬네일|없음|[[지삼선]].]] [[중국]]과 [[일본]]은 가지를 이용한 다양한 요리가 발달해 있다. 특히 [[중국]]은 가지의 크기도 한국 것보다 훨씬 크고 좀 더 단단해서 요리해 먹으연 맛있다. 볶아도 먹고 튀겨도 먹고 정말 다양하게 먹는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중국식 가지요리는 [[양꼬치]] 집에서 많이 파는 [[지삼선]](地三鲜, [[디산시엔]])으로, 여기서 地三이란 땅에서 나는 세 가지 채소, 즉 가지, [[감자]], [[고추]]를 뜻하며, 이를 주 재료로 한 [[볶음]] 요리를 뜻한다. 그밖에도 [[위샹체쯔]](鱼香茄子, [[어향가지]])도 잘 알려진 중국식 가지 [[볶음]] 요리다. 이연복과 백종원도 어향가지를 방송에서 선보인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텐푸라]] 재료로도 널리 쓰이며 가지에 [[튀김옷]]을 가볍게 입혀 튀긴 다음 [[가쓰오부시]] 국물을 끼얹은 나스아게(ナス揚げ)가 반찬으로도 안주로도 인기가 많다. 서양에서는 구워서 [[샐러드]]에 넣어 먹는다. 직각으로 썰어 [[그릴]]로 구워 줄무늬가 가도록 해서 넣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슈니첼]]에서 [[고기]] 대신 쓰이기도 한다. 날것으로도 먹을 수 있다. 잘 익은 가지라면 약간의 단맛이 있다. 다만 [[오이]]처럼 아삭아삭한 맛은 없고 조금 푸석한 질감이 나는 정도다. 밭에서 막 딴 가지는 단맛이 나고 맛이 괜찮지만 시장에 있는 건 맛이 떨어진 상태다. 그리고 아래에 나올 '[[솔라닌]]'도 주의할 필요가 있지만 날로 먹으나 익혀 먹으나 독성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고 우리가 흔히 먹는 정도로는 [[솔라닌]] 중독에 걸릴 일도 거의 없다. ==건강== 과거에는 영양가가 형편 없는 [[채소]]로 취급 받았다. 많은 [[채소]]들이 거의 수분과 섬유질이고 비타민이나 무기질 같은 영양소는 얼마 안 되는데, 특히 가지는 94% 정도가 수분으로 [[오이]]와 비슷한 수준이다. 가지를 볶아보면 수분이 쭈욱 빠지면서 양이 확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요즈음은 가지의 영양소가 재조명 받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게 가지의 검은색을 만들어주는 [[안토시아닌]]이다.<ref>정확히는 짙은 보라색을 띤다.</ref> 특히 눈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f>[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33654&CONT_SRC=HOMEPAGE&CONT_ID=6220&CONT_CLS_CD=001021007002 "보라색에 주목하라! 세포 손상의 방패막, 가지"], 삼성서울병원 - 식품과 영양.</ref> 검정콩, 블루베리와 같은 이른바 '블랙 푸드'가 각광 받으면서 역시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가지도 재조명 받았다. 그리고 가지에는 흔히 '[[감자]]독'으로 알려져 있는 [[솔라닌]]이 들어 있다. 옛날에는 밭일을 하다가 가지를 뚝 따서 날로 먹기도 했지만 그 시절에도 '가지를 날로 먹으면 입술이 부르트거나 이가 삭는다'는 말이 있었다.<ref>[https://www.khan.co.kr/life/health/article/201505131726512#c2b#csidx7a242172dc848cca3fde8335a016116 "‘솔라닌’은 감자독이 아니라 사실은 가지독], 경향신문, 2015년 5월 13일.</ref> 그런데 익혀서 먹는다고 해서 [[솔라닌]]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솔라닌]]은 섭씨 285도에서 분해되는데, 볶거나 찌거나 튀기는<ref>튀길 때 기름 온도는 보통 180도 정도다.</ref> 정도로는 [[솔라닌]]을 분해하기 힘들고 강한 불에 구워야 분해 된다. 수용성이 아니므로 잘 씻는다고 해도 물에 녹지도 않는 독소다. 따라서 날로 먹으면 안 되고 익혀 먹으라는 것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다만 가지의 [[솔라닌]] 함유량은 11mg 정도이며<ref>[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90 "솔라닌, 다량 섭취하면 전신 마비 올 수도"], 케미컬뉴스, 2021년 2월 01일.</ref> 중독 증상이 나타나려면 몸무게 1kg당 2~5mg으로<ref>몸무게 1kg 당 3~6mg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ref>, 2020년 한국인 평균 체중인 남성 72.7kg, 여성 57.8kg에 대입해 보면 남자는 145.4~363.5mg, 여자는 115.6~289mg이니까 한두 개 정도 먹는다고 해서 아린 맛이 나는 정도이고 전혀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30mg을 넘어가면 복통, 위장장애, 현기증 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ref>[https://news.samsung.com/kr/%EC%8B%9D%EC%9A%A9-%EC%8B%9D%EB%AC%BC-%EC%86%8D-%EC%9E%90%EC%97%B0%EB%8F%85%EC%86%8C-%EC%95%88%EC%A0%84%ED%95%98%EA%B2%8C-%EC%A0%9C%EA%B1%B0%ED%95%98%EB%A0%A4%EB%A9%B4 "식용 식물 속 자연독소, 안전하게 제거하려면"], Samsung Newsroom, 2016년 9월 12일.</ref> 즉 두 개 정도가 한계인 셈. {{각주}} [[Category:채소]]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가지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