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겉절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겉절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름처럼 겉에만 맛이 들 정도로 절이는 음식을 뜻한다. 주로 [[김치]]의 간단 버전 정도로 여기는데, 즉 충분히 재료의 숨을 죽이고 양념에 버무린 다음 시간을 두고 숙성시키는 게 아니라, 손질한 재료에 [[소금]]과 양념을 뿌려서 버무리면서 재료의 숨이 대충 죽는 정도면 되고, 굳이 숙성시키지 않고 며칠 안에 바로 먹는다. 심지어 숨이 덜 죽어서 아직 뻣뻣한 상태에서 그냥 먹기도 한다. 겉절이는 오히려 시간이 지나면 맛이 확 떨어진다. 보통 재료의 숨을 충분히 죽이지 않기 때문이 시간이 지날수록 재료에서 물이 많이 빠져나와 국물이 흥건해지며, [[발효]]가 되어 버리면 맛이 애매해진다. [[발효]]를 하지 않는다는 것 때문에 겉절이를 [[김치]]로 볼 수 있는가 하는 논란도 있다.<ref>[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7335 "겉절이"], 한국민속대백과사전.</ref> 겨울철에 김장김치가 바닥이 나거나 너무 시어져서 먹기가 뭐할 때 얼갈이배추나 봄동으로 겉절이 [[김치]]를 많이 해 먹는다. 이 재료들은 김장김치에 쓰는 배추보다는 작고 덜 뻣뻣한 편이라 겉절이를 해도 너무 뻣뻣하지 않다. 김장을 할 때에 겉절이도 같이 하는 집도 종종 있다. 김장김치는 어느 정도 숙성해서 먹는 게 전제라, 김장김치가 맛이 들기 전에 먹을 김치는 겉절이로 만들어 먹는다. 동네에서 김장을 할 때는 술안주로 김치속이나 겉절이에 [[두부]]나 [[돼지고기]] 삶은 걸 곁들여 먹기도 한다. 어차피 김치속 만들 때 좀 더 하면 되니 품이 따로 많이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설렁탕]]집, [[칼국수]]집을 비롯해서 [[김치]] 소비량이 많은 곳 중에는 메인 음식도 물론 유명하지만 [[깍두기]]나 겉절이 [[김치]]로도 유명한 곳들도 많다. 사실 [[설렁탕]] 맛은 거기서 거기인데 [[김치]]나 [[깍두기]]가 손맛을 많이 타다 보니 사랑받는 집들이 많다. [[부추]] 역시 겉절이로 많이 해먹는다. [[부추]]로 김치를 담을 수도 있지만 너무 흐느적거려서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그냥 간단하게 [[고춧가루]]와 [[소금]], [[젓갈]]<ref>남도 쪽은 확실히 겉절이에도 멸치액젓이나 까나리액젓을 듬뿍 쓰는 경향이 있다.</ref>, 여기에 [[참기름]]도 살짝 친 다음 버무려서 겉절이로 해먹으면 잘 어울린다. [[순댓국]], [[돼지국밥]], [[해장국]]과는 정말 잘 어울린다. 상추도 겉절이로 종종 쓰이며, 특히 [[고깃집]]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각주}} [[Category:한국음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겉절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