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광둥 인터내셔널 서킷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광둥 인터내셔널 서킷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Guang dong international circuit pit.jpg|upright 1.5|섬네일|없음|광둥인터내셔널서킷 피트.]] Guangdong International Circuit (GIC) [[중국]] [[광저우]] 근교 [[자오칭시]]에 있는 [[모터레이스 서킷]]. 서킷 길이는 2.8 km. [[F3]]나 [[WTCC]] 국제 경기를 할 수 있는 등급. [[중국]] 본토에 있지만 특이하게 [[홍콩]] [[ASN]]인 [[HKAA]]의 공인을 받았다. 자기네 땅 안에는 서킷이 없는 [[홍콩]]에서 잘 써먹고 있는 곳으로 [[홍콩 투어링카 챔피언십]](HTCC) 경기가 주로 이곳에서 열린다. [[HTCC]]에 참가하는 팀의 캠프도 다 이 서킷 안에 있다. <del>선수가 자기 차 보려면 [[여권]] 들고 입국심사 받아야 하는 괴로움이.</del><ref>일국양제이기 때문에 그렇다. 다만 [[홍콩]], [[마카오]] 시민들은 여권 없이도 정부 발행 신분증으로 입출경할 수 있다.</ref> [[CTCC]]를 비롯한 [[중국]] 경기도 열린다. [[홍콩]] [[ASN]] 관할에 있지만 도심 기준으로 보면 [[홍콩]]이나 [[광저우]]보다 오히려 [[마카오]]에 더 가깝다. [[홍콩]]과 마찬가지로 자기네 땅에 서킷이 없는 [[마카오]]도 이곳에서 경기를 개최한다. 다만 [[마카오]] 기준으로는 바로 위 [[주하이시]]에 있는 [[주하이인터내셔널서킷]]이 더 가깝다. [[홍콩]]에서 볼 때에도 직선거리로는 주하이 쪽이 훨씬 가깝지만 육로로는 빙 돌아가야 하므로 광둥서킷 쪽이 더 가깝다. 2018년에 [[강주아오대교]]가 열리면서 [[홍콩]]에서 자동차를 이용해서 [[마카오]]와 [[주하이]]로 갈 수 있게 되었지만 정부 승인을 받은 차만 오갈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낮은 편이기도 하고, 주하이서킷은 중국 ASN 관할이라서 홍콩으로서는 광둥서킷이 여전히 활용도가 더 높다. [[FIA]]로부터 3등급으로 공인을 받았기 때문에 [[F3]]나 [[WTCC]] 같은 2.5리터급 국제 경기까지 치를 수 있다. 그러나 이름과는 달리 국제 경기 개최 실적은 썰렁하다. 2011년에 [[WTCC]] 경기가 열릴 뻔했는데 결국 [[상하이 티안마 서킷]]으로 바뀌었다. 중국 광둥성에 있는 [[모터스포츠]] 전용 서킷으로는 [[주하이인터내셔널서킷]]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곳으로, 2009년 12월에 개장했으니까 {{#time:Y|now}}년 기준으로 보면 {{#time: y|now - 2009 years}}년 된 건데 [[서킷]]이 굉장히 낡고 허름해 보인다. 시설 곳곳이 칠이 벗겨져 있고 녹이 슬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 30년은 되어 보이는 허름한 모습이다. 하지만 서킷 자체의 관리는 잘 되고 있다는 평. 특히 런오프 버지를 자주 고르는 것만 봐도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게 달려본 선수들의 얘기다. [[파일:Guangdong international circuit turn 12.jpg|upright 1.5|섬네일|없음|광둥인터내셔널서킷 턴 12.]] {{각주}} [[Category:모터레이스 서킷]]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광둥 인터내셔널 서킷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