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그라파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그라파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Grappa. [[와인]]을 양조하고 남은 찌꺼기를 짜낸 즙을 증류한 [[술]]. 이런 술은 보통 [[강화 와인]]을 만드는 데 많이 쓰이는데,<ref>[[강화 와인]]은 [[와인]]에 [[주정]], 즉 [[알코올]]올 넣어서 도수를 높이는데 이 때 [[이탈리아]]에서는 그라파를 많이 쓴다.</ref> 이것만 따로 제품으로 만들어서 팔기도 한다. 도수는 제품에 따라 35도에서 60도까지 다양하다. 증류주지만 [[와인]]의 부산물로 만들다 보니까 [[와인]] 마니아 중에 그라파 마니아도 많고, [[와인]] 관련 책에서도 종종 언급된다. [[레드 와인]]은 [[과즙]]만이 아니라 껍질까지 집어넣고 양조하는데, 결국은 건져내야 한다. 건져낸 찌꺼기<ref>[[와인]] 중에는 포도알만이 아니라 포도 줄기도 넣어서 양조하는 것도 많이 있으며, 그라파에도 들어간다.</ref>도 [[와인]]을 머금고 있지만 본전 뽑자고 이 녀석을 함부로 짰다가는 뿌연 불순물이 [[와인]]을 망친다. 건져낸 찌꺼기를 따로 꼭꼭 짜낸 다음 [[증류]]하면 [[알코올]] 도수가 높고 무색 투명한 [[술]]을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이 그라파다. <del>본격 재활용술, 혹은 [[이탈리아]]판 [[막걸리]]?</del> 그라파(Grappa)라는 말이 [[이탈리아어]]라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이탈리아]]가 유명하다. 하지만 [[포도]] [[증류주]]로 범위를 넓혀 보면 [[코냑]]이나 [[아르마냑]] 같은 [[프랑스]] [[브랜디]]보다는 인지도가 딸리는 편. [[와인]] 마니아, 특히 [[이탈리아]] [[와인]] 마니아들 중에는 그라파도 좋아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역사는 메소포타미아 고대 문명으로까지 올라가서 기원전 800년 경부터 이런 술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 4세기 경이다.<ref>[https://www.lifeinitaly.com/food/wines/history-of-grappa/ "History Of Grappa"], Life in Italy.</ref> 재료가 [[와인]] 찌꺼기인만큼 당연히 그라파를 판매하는 회사는 상당수가 [[와인]] 회사다. [[오크통]]에 넣지 않은 무색투명한 [[오드비]] 상태에서 병입한 제품도 있는 반면, [[오크통]] 숙성을 거친 붉은 빛의 그라파도 있다. 찌꺼기가 아니라 양조된 [[와인]]과 건더기까지 함께 증류해서 만드는 제품도 있지만 아래의 이유 때문에 그라파라고는 부르지 못하고 아쿠아비테 두바(acquavite d'uva)라고 부른다. [[유럽연합]]의 규정에 따르면 그라파라는 이름을 붙이려면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 [[이탈리아]], [[스위스]]의 [[이탈리아어]]권, 그리고 [[산마리노공화국]]에서 만들어야 한다. * [[와인]]을 만들고 난 찌꺼기로 만들어야 한다 * [[발효]]와 [[증류]] 모두 오로지 [[와인]]을 만들고 난 찌꺼기만 가지고 해야 한다. 즉 물을 추가하거나 해서는 안 된다.<ref>하지만 병입 과정에서 알코올 도수 조정을 위해 물을 추가하는 건 어쩔 수 없다.</ref> [[와인]]을 만들고 난 찌꺼기로 만들지만 이 역시 포도, 즉 과일이므로 나무통에 숙성한 그라파는 [[브랜디]]로 분류할 수 있다. [[발효]]와 [[증류]] 과정에서 물을 첨가할 수 없는 규정은 그라파 제조를 상당히 까다롭게 만든다. 찌꺼기가 수분을 많이 머금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액체 상태도 아니다. 직접 불로 가열하면 타버릴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중탕이나 수증기를 이용해서 가열해야 한다. 또한 찌꺼기에는 [[포도]] 껍질만이 아니라 포도송이의 가지도 포함이 되는데, 이 때문에 [[메탄올]]이 미량 들어간다. [[와인]]에서는 약간 숙취를 일으키긴 해도 건강에 별 문제가 안 되지만 [[증류]]를 하면 농축이 되어 버리므로 문제가 된다. [[메탄올]]은 끓는점이 64.7 °C, [[에탄올]]은 78.32°C이므로 [[증류]]를 할 때 주의 깊게 감시하면서 초류를 버려야 한다.<ref>그라파만 그런 건 아니고 대부분 양조주는 [[메탄올]]이 조금 있으므로 증류 때 농축되지 않도록 초류를 버려야 한다.</ref> [[프랑스]]에는 마르(Marc)라는 비슷한 술이 있다. {{각주}} [[Category:브랜디]]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그라파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