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기린맥주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기린맥주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麒麟麦酒。 일본의 [[맥주]]회사. [[아사히맥주]], [[삿포로맥주]]와 함께 [[일본]]의 3대 [[맥주]]회사로 손꼽힌다. [[산토리]]까지 넣어서 4대 맥주회사로 보는 사람도 있다. 더구나 [[산토리]]가 2008년에 [[삿포로맥주]]를 제치고 점유율 3위로 올라서면서 이제는 빅 4로 불러도 이상하지 않다. 다만 [[아사히맥주|아사히]]와 기린에 비해 다른 두 회사의 점유율은 차이가 많이 난다. 회사의 정식 이름은 완전히 한자로 麒麟麦酒(기린바쿠슈)지만 읽을 때는 '기린비-루'라고 읽는다. 회사에서는 한자보다는 오히려 카타카나로 キリンビール라고 많이 쓰는 편이다. 여기서 기린은 우리가 흔히 아는 목 긴 동물이 아닌, 설화 속에 나오는 상상속 동물을 뜻한다. 출중한 인물을 가리키는 말인 '기린아'도 이 상상속 동물을 뜻한다. 1870년에 [[노르웨이]]계 [[미국]]인인 윌리엄 코프랜드가 [[요코하마시]]에 세운 '스프링밸리브루어리'가 그 시조로,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대중 지향 [[맥주]]를 생산하기 시작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자금난으로 도산했지만 1885년에는 미쓰비시재벌의 이와사키 야노스케가 인수했다. 다만 이때는 외국자본을 끌어들여 [[홍콩]] 국적의 '저팬브루어리'라는 이름으로 탈바꿈했지만 1907년에 완전자 미쓰미시 산하로 들어가서 일본 국적 회사인 기린맥주가 되었고, 지금까지도 모회사인 기린홀딩스가 미쓰비시그룹 소속이다. 전후 [[일본]] [[맥주]] 시장에서 수십 년간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했으며, 1966년에는 [[일본]] 전체 [[맥주]] 생산량의 50%를 돌파할 정도로 정말 잘 나갔다. 주력 상품은 [[기린라거]]와 [[이치방시보리]]. [[기린라거]]는 오랫동안 기린의 [[일본]] [[맥주]]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켜준 스테디셀러로 [[맥아]] 말고도 [[옥수수]]와 [[전분]]이 들어간 미국식 [[라거]]의 일본판. [[아사히 슈퍼드라이]]를 앞세운 [[아사히맥주]]의 공세에 밀려서 1990년대에 기린맥주가 2위로 내려앉는 지경에 이르렀지만 여전히 스테디셀러로 생산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한국에서는 수입하지 않고 있다. 반면 [[이치방시보리]]는 [[맥아]] 100%를 사용한 프리미엄급 [[맥주]]인데 어찌된 일인지 그런 대접은 전혀 못 받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기린라거]]와 [[이치방시보리]]의 가격은 엇비슷하다. 마치 [[하이트]]와 [[하이트 맥스]]가 같은 가격인 거와 비슷한 상횡. [[맥주]] 시장에서는 2위로 밀렸지만 버블 경제가 꺼지면서 싼 [[맥주]]를 찾는 수요에 발맞춰서 히트작 [[탄레이]]를 필두로 [[발포주]] 시장을 적극 공략한 덕에 여전히 [[아사히맥주]]와 치열한 수위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쓰비시그룹에 속해 있는 관계로 3대 [[맥주]]회사 중 정부 조사 결과 일제강점기에 조선인을 강제동원한 전범기업으로 확정되었다.<ref>[[아사히맥주]]는 극우 세력을 후원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고, 그나마 [[삿포로맥주]]나 [[산토리]]가 좀 거리를 두고 있는 편이다.</ref> 우리나라에는 1933년 서울 영등포에 쇼와기린맥주 공장을 세우고 맥주를 생산, 판매했다. 해방 후에는 '동양맥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지금의 [[OB맥주]]가 바로 동양맥주로, OB는 동양맥주의 영문표기인 Oriental Brewery에서 머릿글자를 따온 것. {{각주}} [[Category:맥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기린맥주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