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기스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기스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Jisimian.jpg|upright 1.5|섬네일|없음]] 정체자 鷄絲麵, 간체자 鸡丝面. [[중국]]의 [[국수]] 음식. 중국에는 없는 한국식 [[중화요리]]로 잘못 알려져 있지만 엄연히 [[중국]]에도 있는 요리다. 다만 만들어진 시기가 청나라 말기로 역사가 짧고 중국 전역에 널리 퍼져 있지 않을 뿐이다. 중국의 위키백과격인 바이두백과에도 기스면 항목이 있고 요리법도 나와 있다.<ref>[https://baike.baidu.com/item/%E9%B8%A1%E4%B8%9D%E9%9D%A2 "鸡丝面"], 百度百科.</ref> 안후이(安徽)성 샤오현(萧县)에서 청나라 말기에서 중화민국 초창기로 넘어가는 시대에 요리사로 이름을 날렸던 딩(丁)씨 삼형제가 고안한 요리로 알려져 있다. 한자를 우리 식으로 읽으면 '계사면'이 된다. 뜻을 풀어 보면, 닭(鷄/鸡)+실(絲/丝)+국수(麵/面)인데, [[닭고기]]를 길고 가늘게 찢어서 고명으로 올린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원래 鷄/鸡의 표준중국어 발음은 '지(jī)'에 가깝지만 우리나라 [[중국음식]]이 들어온 경로가 [[인천]]에서 가까운 산둥반도였고<ref>기스면의 유래로 알려져 있는 안후이성 바로 북쪽에 붙어 있는 곳이 산둥반도였으니 안후이 지역 요리도 우리나라도 넘어오기에 쉬웠을 것이다.</ref>, 이쪽은 鷄/鸡를 '기'에 가깝게 발음하다 보니 우리나라에서는 '기스면'으로 정착되었다. 이는 역시 [[닭고기]]를 사용한 [[라조기|라조'기']], [[깐풍기|깐풍'기']]도 마찬가지다. 기본은 [[닭고기]]와 닭뼈를 사용한 말간 [[육수]]에 길고 가늘게 찢은 [[닭고기]] 고명을 사용한 국물 있는 [[국수]]다. 우리나라에서는 좀 더 개운한 맛을 주기 위해 해산물을 추가로 투입해서 [[육수]]를 내는 곳이 많다. 여기에 물[[녹말]]을 넣어 국물을 걸쭉하게 하고, [[달걀물]]을 풀어 넣으면 영락 없는 [[울면]]이다. [[중국집]] [[우동]] 역시 맵지 않은 하얀국물로, 사실 세 가지 다 [[육수]]는 닭뼈 베이스로 엇비슷하다. [[닭고기]] 대신 [[홍합]], [[오징어]]와 같은 해산물을 넣고 [[달걀]]을 풀면 [[우동]]이고, 여기에 국물이 걸쭉하면 울면이고, [[닭고기]] 고명을 올리면 [[기스면]]이고, 이런 식이다. 종종 셋을 비교한 글을 인터넷에서 볼 수 있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5172051045#csidx20540be1f2d5f899a2460eab586a779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 기스면과 울면"], 경향신문, 2018년 5월 17일.</ref> 셋 다 [[짬뽕]]<ref>원래 [[짬뽕]]의 원조인 [[일본]]의 [[나가사키 짬뽕]]은 맵지 않은, 우리나라 [[중국집]] [[우동]]에 가까운 요리다. 한국에서 [[짬뽕]]은 맵고 빨간 국물로 변했고, 원래의 [[짬뽕]]은 [[일본]]의 [[우동]]과는 전혀 상관도 없는데도 [[우동]]이라는 이름을 달고 밀려났다.</ref>과 같은 맵고 자극적인 맛에 밀려서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그나마 [[우동]]은 파는 [[중국집]]이 좀 있지만 기스면이나 [[울면]]은 동네 [[중국집]]에서는 이젠 보기 힘들고 가끔 일부 고급 [[중화요리점]]에서나 만날 수 있다. [[국수]]는 [[중화요리]]에 많이 쓰이는 두툼한 [[중화면]] 대신 [[중국]]에서는 [[달걀국수]]를, 한국에서는 [[소면]]과 같은 가는 면을 주로 사용하며, 고명으로는 주로 [[닭가슴살]]을 사용한다. [[중국]]에서 볼 때에는 [[닭고기]]를 길고 가늘게 찢은 고명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 고명을 다양한 [[국수]] 요리에 접목시키면 다양한 기스면이 나온다. [[중국]] 웹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여러 가지 기스면 레시피를 보면 [[표고버섯]]도 고명으로 종종 쓰이며, 표고 고명을 사용한 것은 샹구(香菇)기스면이라는 이름으로 올라와 있다. 차가운 [[비빔국수]]로 먹는 량반(凉拌)기스면도 있고, 매운 기스면도 있고, 중국에는 여러 가지 변형들이 있다. [[닭고기]] [[육수]]를 사용하므로 기름은 좀 떠 있지만 [[중국음식]] 중에서는 자극적인 맛이 별로 없이, 담백하고 덜 느끼한, 깔끔한 스타일에 속한다. 팔도 [[꼬꼬면]], 삼양 [[나가사끼짬뽕]]과 같은 하얀국물 [[라면]] 열풍을 타고 오뚜기라면에서 기스면 제품을 내놓은 적도 있다. 원래 기스면은 특별히 자극적이지 않은 담백한 맛이지만 오뚜기의 [[라면]] 버전은 한국인들의 입맛에 맞춰서 [[청양고추]]를 사용한 칼칼한 맛을 내세웠다. [[일본]]의 [[칼국수|넓적하고 얇은 국수]]를 뜻하는 [[키시멘]]과 헷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일본어 표준 한글 표기법에 따르면 '기시멘'이다 보니 더욱 헷갈릴 수 있지만 둘은 전혀 관계 없다. 국수도 [[키시멘]]은 얇고 넓적하기 때문에 가는 면을 주로 쓰는 기스면과는 전혀 다르다. {{각주}} [[Category:중국음식]] [[Category:국수]]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기스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