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김치전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김치전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밀가루]] 반죽에 [[김치]]를 넣어서 만든 [[부침개]]. 어떤 것이든 [[김치]]를 넣으면 다 김치전이라고 할 수 있지만 거의 배추김치를 사용하며, 파김치, 부추 겉절이로도 만들 수는 있지만 흔히 보는 건 아니다. [[김치]] 덕분에 빨간색을 내기 때문에 다른 [[부침개]]와는 확실하게 구별된다. [[파전]]과 함께 대중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은 부침개라고 할 수 있다. [[부침개]]라는 게 재료도 간단하고 만들기도 쉽지만 김치전은 더더욱 만들기 간단하다. 최소화 하자면 [[밀가루]], [[김치]], 물, [[식용유]]로 땡이다. [[김치]]에 여러 재료와 양념까지 듬뿍 들어 있기 때문에 다른 재료는 거의 필요하지 않다. [[김치]] 자체가 '한 가지 재료'라고 하기에는 너무 사기 캐릭터인 셈. [[김치찌개]]도 [[김치]]와 물, [[돼지고기]] 정도면 충분한 것과 비슷하다. 물론 김치전 재료로 [[해산물]]이나 [[고기]]를 추가로 넣어도 좋다. [[돼지고기]]를 갈아서 반죽에 섞어도 맛있다. [[김치]]가 영 맛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웬만하면 맛없게 만들기 힘들다. 뜨끈뜨끈할 때 먹으면 맛있지만 식어도 꽤 맛있으며, 그래서 일반 식당은 물론 [[구내식당]]에서도 종종 반찬으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김치전을 만들 때에는 부침가루보다는 [[밀가루]]가 낫다. 부침가루에는 [[소금]]과 양념이 들어가 있는데 이미 [[김치]]에 양념과 [[소금]]이 듬뿍 들어가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짜질 수 있다. 반죽에 김치국물을 넣으면 정말 짜지고, 오히려 [[김치]]를 한 번 꼭 짜주는 게 좋다. 아예 [[김치]]까지 들어간 초간편 버전인 '김치전 믹스'도 나와 있다. 물만 부어서 잘 섞은 다음 부쳐내면 땡. [[컵라면]] 용기에 들어 있어서 표시선까지 물 붓고 잘 저어준 다음 부쳐내면 되는 김치전 믹스도 있다. 동결건조 [[김치]]가 들어 있기 때문에 식감이라든지 하는 부분은 생김치를 사용한 것보다 많이 떨어지지만 맛은 꽤 그럴 듯하다. 자매품으로 영원한 라이벌인 [[파전]] 믹스도 나와 있다. 비가 올 때 김치전이 당긴다는 사람들이 많다. [[파전]]도 종종 거론되지만 집에 있을 때에는 압도적으로 김치전인데, 쪽파는 집에 없을 가능성이 높지만 [[김치]]는 웬만하면 집 냉장고에 있게 마련이고<ref>물론 김치찌개처럼 신김치로 만들어야 훨씬 맛있다.</ref> 그냥 숭숭 썰어서 [[밀가루]] 반죽에 넣고 부치면 되니까<ref>김치에 양념이 다 되어 있으므로 부침가루조차도 필요 없이 그냥 [[밀가루]]에 아무런 간도 하지 않고 만들어도 된다.</ref> 간단하게 만들어 먹기가 쉽다. 왜 비오는 날 [[부침개]]가 먹고 싶어지는지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그냥 집에서 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부침개]] 항목 참조. {{각주}} [[Category:한국음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김치전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