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냉국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냉국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국은 국인데 차가운 국. 보통 국은 뜨거울 때 먹는 거지만 냉국은 차게 먹는 것이며 아예 얼음을 넣어서 차디차게 먹기도 한다. 특히 여름에는 시원한 냉국이 인기가 좋다. 국을 끓인 후 차갑게 식혀서 먹기도 하지만 주종은 애초에 아예 끓이지 않는, 어찌 보면 화채에 가까운 음식이다. 전자의 대표 사례라면 [[콩나물국|콩나물냉국]]이나 차가운 도토리묵사발, 후자의 대표 사례라면 [[미역]]냉국이나 [[오이]]냉국 같은 것들이 꼽힌다. [[오이지]]로도 냉국을 만드는데, 채썰어 넣는 오이냉국과는 달리 물기를 꼭 짠 다음 슬라이스를 해서 넣는다. 끓였다 식히는 냉국인 경우에는 소금간에 특히 주의해야 하는데, 뜨거울 때 간을 보면 식혔을 때 엄청 짜진다. 이는 혀가 뜨거운 음식의 짠맛에 둔감하기 때문이다. 한국인들의 [[소금]] 섭취가 세계에서 가장 심한 수준이라는 지적을 받는 이유중 하나도 뜨거운 국의 간을 맞추려면 [[소금]]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이다.<ref>우리나라 음식은 간이 약한 편으로, 한국인들이 외국에 나가서 음식을 먹다 보면 '뭐 이렇게 짜?' 하고 놀랄 정도인데도 한국인들이 염분 섭취량이 많은 이유가 바로 국 때문이라는 지적을 많이 받는다. 단, 여전히 한국인의 염분 섭취량이 권고량을 넘고 있기는 하지만 계속된 노력으로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ref> [[물회]]도 일종의 냉국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속초나 강릉 같은 강원도 바닷가 지역에서는 국물을 흥건하게 해서<ref>[[사이다]]를 넣어서 톡톡 쏘는 맛을 주기도 한다.</ref> 심지어 식은 밥에 말아먹기까지 한다. [[냉면]]이나 물[[막국수]]도 냉국에 밥 대신 [[국수]]를 말아먹는 것과 비슷한데, 이런 것까지 냉국이라고 부르지는 않지만 시원한 국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여름 한정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여름에는 한식 음식점에서 정말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여름이 아니면 좀처럼 보기 쉽지 않다. 대부분 [[식초]]를 넣어서 새콤하고 산뜻한 맛을 내는 게 특징이다. [[식초]], [[설탕]], [[소금]], 이 세 가지의 비율을 잘 맞추는 게 관건이다. 반면 [[콩나물국|콩나물냉국]] 같은 예외를 빼고는 끓여서 건더기의 맛을 우려내지 않으므로 건더기는 국물 맛에는 별 영향은 미치지 않는다. 냉국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또다른 음식은 [[물김치]]. 특히 [[나박김치]]나 [[동치미]]는 거의 냉국과 그게 그거라고 해도 될 정도다. 김치말이국수 또는 김치말이밥은 이런 [[물김치]]에 [[국수]]나 밥을 말아서 먹는다. 다만 [[물김치]]는 숙성 과정을 거치고 [[발효]]의 힘을 빌리기도 하지만 냉국은 발효 없이 바로 만들어서 바로 먹는다는 점 정도가 차이라 할 수 있다. {{각주}} [[Category:한국음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냉국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