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담금주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담금주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침출주라고도 한다. 고형으로 된 재료를 [[술]]에 담가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재료 속의 성분들이 [[술]]로 우러나와서 [[술]]의 맛과 향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만든다. 담금주에 쓰이는 재료로는 [[과일]]부터 [[칡]], [[더덕]]과 같은 뿌리, [[인삼]]을 비롯한 약재, 심지어 [[뱀]]이나 [[쓸개]] 같은 동물성 재료가 들어가기도 한다. <del>술독에 빠져 사는 사람들은 인간 침출주.</del> 나이든 분들이 사는 집에 가보면 [[인삼]]이나 [[더덕]]이 큼직하게 들어 있는 술병이 전시되어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뱀술을 전시해 놓은 집도 있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보기 흉물스러워서 요즘은 꺼리는 편. 담금주를 만들려면 [[술]]이 필요한데, 될 수 있으면 [[알코올]] 말고 다른 성분이 없거나 적은 게 재료의 맛과 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또한 알코올 도수가 웬만큼 되어야 재료의 성분도 잘 녹아나오고 부패도 막을 수 있다. 우리니라에서는 단연 [[소주]]. 담금주용으로 대용량 PET병에 넣어서 파는 제품도 있다. 다른 용기를 준비할 필요 없이 거기에 바로 재료를 퐁당퐁당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용기에 술을 꽉 채워 놓았기 때문에 재료를 넣으면 넘치는 관계로 상당량을 따라내야 한다. <del>버릴 수도 없고, 마시는 거지 뭐.</del> 담금주용으로 파는 [[소주]]는 보통 [[소주]]보다 도수가 높다. 일반 소주가 요즘은 [[알코올]] 도수 20도 이하로 나오는데 반해 담금주용 [[소주]]는 25~30도다. 담금주에 쓰이는 재료는 주로 과일이나 약초로 수분을 머금고 있는데 술에 담그면 재료에 있던 수분이 어느 정도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수가 낮아진다. 또한 담금주의 [[알코올]] 도수가 너무 낮으면 재료가 잡균 때문에 상해버릴 수도 있다. 담금주용 [[소주]]는 대용량에 값도 싸서 [[MT]] 갈 때 사가는 경우도 있는데, 그냥 [[소주]] 마시듯이 마셨다가는... 서양에도 담금주가 많이 있다. 가장 유명한 게 [[증류주]]에 쥬니퍼베리와 몇 가지 [[허브]]를 담가서 만들던 [[진]]. 영어로는 infused liquor 혹은 infused spirit이라고 한다. [[과일]]과 [[허브]]를 재료로 하는 여러 가지 담금주가 있다. 특히 약초 효과가 있다고 믿었던 허브를 담가 우려낸 술을 약으로도 많이 썼다. [[칵테일]] 재료로 쓰이는 리큐어도 원래는 담금주로 만들던 게 많다. 싸구려야 그냥 추출물 타거나 합성향료로 해결하지만... [[멕시코]]의 [[메스칼]]<ref>우리가 잘 아는 [[테킬라]]는 [[메스칼]]의 일종으로 [[테킬라]] 지역에서 생산한 것만 이 이름을 붙일 수 있지만 [[멕시코]] 일대가 아니면 그냥 퉁쳐서 [[테킬라]]라고 부른다. [[스파클링 와인]]과 [[샴페인]]의 관계와 비슷하달까.</ref> 중에는 재료인 선인장에 살던 벌레를 하나씩 병에 넣는 제품도 있다. 우리나라에도 들어오는 몬테 알반이 그 대표격. 이것도 정력에 좋네 뭐네 하면서 못 먹어서 안달인 사람들이 있다. [[동남아시아]] 쪽으로 가면 전갈, 거미를 비롯한 온갖 곤충, 또는 도마뱀 같은 파충류를 담가서 만드는 술들이 있다. 묘한 건 우리나라도 뱀술 같은 걸 정력에 좋다고 생각하는 것과 비슷하게 동남아시아 사람들도 이런 술을 '정력에 좋다'고 생각한다고. {{각주}} [[Category: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담금주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