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당면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당면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唐麵.<ref>이는 한국에서 쓰는 한자어고, [[중국]]에서는 粉条라고 한다.</ref> [[녹말]]을 원료로 만든 반투명한<ref>그래서 영어로는 glass noodles 또는 cellophane noodles이라고 한다.</ref> [[국수]]. [[녹말]]과 [[명반]]으로 만들며 미끌미끌한 식감을 특징으로 한다. [[밀가루]] [[국수]]와 비교하면 열량이 낮은 편이고, 기름에 튀기지 않아도 뜨거운 물에 잘 익기 때문에 [[다이어트]]용 [[컵라면]]에 당면을 쓰는 제품이 많다. 하지만 그냥 놔두면 서로 쉽게 들러붙기 때문에 [[참기름]]을 넣거나 해서 버무려 줘야 하는데 그러면 칼로리 급상승. 시중에서 파는 당면은 [[고구마]]녹말을 사용한다. [[감자]]녹말로 만들면 더 맛있기는 한데, 빨리 풀어지기 때문에 고구마녹말로 만든 쪽이 다루기 좋다고 한다. 녹두로 만들기도 하지만 보기 드물다. 중국 식재료를 파는 곳에 가면 중국산 녹두당면을 볼 수 있다. 바짝 말려서 딱딱한 상태로 유통하는데 [[밀가루]]로 만든 [[건면]]은 국수가락이 일직선이지만 당면은 우둘두둘한 모습이고 긴 국수가락을 한번 접은 형태로 포장한다. 너무 길어서 잡채 같은 곳에 쓰려면 가위로 몇번 잘라야 하는데 아예 쓰기 편하게 미리 짧게 잘라서 포장한 제품도 있다. [[밀가루]] [[국수]]보다 탄성이 있어서 잘 부러지지 않고 휘어진다. == 응용 == 당면이 들어가는 요리라면 [[잡채]]를 가장 많이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잡채]] 자체의 역사는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반면, 당면은 개화기에 들어왔다. 처음 유입된 건 중국 청나라 때, 즉 조선 후기이지만 널리 퍼진 것은 개화기를 지나서 일제강점기까지 가야 한다. 청나라 때 처음 들어왔지만 당나라를 뜻하는 '唐'자가 들어가는데, 이는 당시에는 唐이 당나라만이 아니라 그냥 중국을 뜻하는 말로도 널리 쓰였기 때문이다. 당면이 들어가기 이전의 잡채는 [[고기]]와 [[채소]]를 볶은 것으로 고급요리 대접을 받았고 심지어 뇌물로 쓰였다는 기록이 있고 광해군이 엄청나게 좋아했다고 한다. [[잡채]]에 당면이 들어가게 된 건 값싸게 양을 늘리기 위한 방법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잡채]] 항목 참조. 지금도 [[잡채]]라고 당면이 다 들어가는 건 아니라서 중국식 [[고추잡채]]나 [[부추잡채]]에는 당면이 안 들어간다.<ref>[[중국]]에도 있는 요리지만 '[[잡채]]'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에 와서 뭔가 사람들에게 친숙한 이름을 찾다 보니 '[[잡채]]'를 붙인 것에 불과하다.</ref> [[중국집]] [[잡채]]는 당면이 들어가는데 예전에는 넓적한 이른바 '중국당면'을 많이 썼으나<ref>실제로 중국은 넓적한 당면을 많이 쓴다.</ref> 요즘은 [[중국집]]도 그냥 둥근 단면의 당면을 쓰는 데가 많아졌다. [[갈비탕]]이나 [[곰탕]] 같은 탕요리, [[소불고기]], [[찜닭]], [[전골]]을 비롯한 갖가지 요리에 사리로 들어간다. [[밀가루]]면과는 달리 국물을 탁하게 만들지 않는다는 것은 장점인데 국물을 엄청 빨아들이는 특징도 있다. [[설렁탕]]은 어차피 국물이 뿌옇기 때문에 [[국수]] [[사리]]를 넣어도 별 상관 없다. [[밀가루]] [[국수]]와는 달리 당면은 익는점이 낮은 [[전분]]으로 만든 거라 뜨거운 탕에 넣고 잠시 놔두기만 해도 풀어지면서 먹을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국물을 확 먹어버린다. 그러나 당면을 국물에 넣을 때에는 미리 한번 삶아서 넣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다. [[만두]], [[순대]]와 같은 음식의 속재료로도 널리 쓰이는데, 당면이 널리 퍼지기 전까지는 [[만두]]나 [[순대]]에 이런 건 안 들어갔다. 사실 당면은 값도 싸고 붇으면 양도 많아지고 해서 값싸게 양을 늘리는 데에는 아주 좋은 재료 중 하나다. 원래 [[순대]]에는 속을 채울 때 돼지피와 함께 찹쌀을 썼지만 찹쌀 대신 값싼 당면이 들어간 게 요즘 [[분식집]]에서 흔히 보는 당면순대다. [[만두]] 역시도 전통 방식으로 만든다면 당면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런 이유로 당면이 들어간 [[만두]]나 [[순대]]를 싸구려라고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튀김]]으로 인기 있는 [[김말이]]도 김으로 당면을 말은 것이다. 당면에 [[소금]] [[후추]] 정도로 간을 해서 김으로 둘러싼 것에 불과한데도 묘하게 맛이 있어서 인기가 많다. 마트에 가도 냉동식품으로 [[김말이]]만 따로 팔고 김말이 [[떡볶이]]도 냉동식품으로 나와 있을 정도다. 이렇게 여러 음식에 쓰이는 최강의 장점이라면 붇기는 해도 퍼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밀가루]]로 만든 [[국수]]는 먹을 수 있도록 조리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 붇는 것을 넘어서 아예 흐물흐물하게 퍼져서 먹기 힘들 정도가 되며, 이를 되돌릴 수 없지만 당면은 녹말이 굳기는 해도 퍼지지는 않는다. 식은 [[잡채]]를 다시 데워 보면 처음 그 맛까지는 아니어도 어느 정도의 탄력은 가지고 있다. [[순대]]도 마찬가지. 먹기는 꽤나 까다롭다. 워낙에 미끄덩해서 [[젓가락]]으로 집으면 쑥쑥 미끄러져 나간다. 이러면서 색깔 있는 국물을 튀기면... {{관용구:이하생략}} [[부산]]에서는 [[비빔당면]]이라는 것을 판다. [[잡채]] 비스무리하지만 삶은 당면에 매운 양념과 [[당근]], [[단무지]], [[어묵]] 채썰은 것, [[부추]]나 [[시금치]], 김가루를 넣고 [[간장]]과 [[고춧가루]]로 만든 양념장에 비벼서 먹는 간단한 음식이다. [[일본]] [[큐슈]] [[쿠마모토현]]의 중화 면요리인 [[타이피엔]]도 당면을 사용한다. [[큐슈]] [[중화요리]]로는 가장 유명한 [[나가사키 짬뽕]]과 무척 비슷한데, [[중화면]]을 사용하는 [[나가사키 짬뽕]]과 가장 큰 차이가 나는 부분이 바로 당면을 쓴다는 점이다. [[국수]] 대신 당면을 써서 칼로리를 낮춘 [[컵라면]]들이 있다. 컵라면은 봉지라면과는 달리 [[건면]]이 별로 없는데, 건면은 뜨거운 물을 붓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불지 않아서 먹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녹말]]로 만든 당면은 [[밀가루]]보다 익는점이 낮으므로 [[컵라면]]에 쓸 수 있다.<ref>사실 컵라면에 들어가는 [[유탕면]]도 익는점을 낮추기 위해서 봉지라면보다 [[전분]]을 좀 더 많이 섞는다.</ref> 보통 [[컵라면]] 하나가 400 kCal 가까이 가는 것에 비해서 당면을 쓴 [[컵라면]]은 200 kCal도 안 된다. 그때문에 당면을 쓴 [[컵라면]]은 다이어트용으로 팔리고 있는 중. 물론 [[유탕면]]을 쓴 것과 비교하면 맛은 아무래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알루미늄 당면?== 당면에 들어가는 첨가물인 명반이 건강 문제로 논란이 되는 일이 종종 있다. 면류 첨가제로 널리 쓰이는 명반은 황산알루미늄칼륨(<chem>AlK(SO4)2•0∼12H2O</chem>)으로, 특히 여기에 들어가는 [[알루미늄]]이 시빗거리가 된다. 특히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 속에 알루미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당면을 많이 먹으면 치매 걸린다?'는 식의 자극적인 제목을 단 기사들도 있었다.<ref>["잡채·김말이·만두가 치매 유발? 당면에서 '알루미늄' 검출 "], 그린포스트코리아, 2015년 12월 18일.</ref> 당면이 많이 들어가는 [[김말이]], [[만두]],<ref>[[만두]] 전문점에서 파는 건 당면이 없는 것도 많지만 값싼 냉동만두나 [[분식집]] [[만두]] 중에는 당면으로 만두속의 양을 늘리는 일이 많다.</ref> [[순대]]<ref>전통방식으로 만든 [[순대]]에는 당면이 안 들어가지만 [[길거리 음식]]이나 평범한 [[순댓국]]집에서 쓰는 건 대부분 당면 [[순대]]다.</ref>도 역시 타겟이다. 명반은 비단 당면에만 들어가는 건 아니고, 면류에 종종 첨가되는 물질이다. [[함흥냉면]]의 질긴 식감은 명반이 없으면 만들어지지 않으며, 베이킹파우더에도 명반이 들어간다. 특히 이 문제가 크게 불거진 것은 2015년에 한국소비자원에서 식품 106종을 조사했더니 105종에서 알루미늄이 검출되었다고 발표하면서부터다. 여기에는 당면 말고도 [[순대]], [[만두]], [[라면]], [[과자]], [[커피믹스]]까지 있었다.<ref name=" sbs_news">[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319996&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취재파일 : 그래서 당면을 어쩌란 말입니까?"], SBS 뉴스, 2015년 12월 18일.</ref> 그런데도 특히 당면이 주로 문제가 된 건 알루미늄이 검출된 당면 7개 제품이 시장 점유율이 90%가 넘고, [[EU]]에서 정한 면류 제품의 알루미늄 수입·통관 기준이 10㎎/㎏인데, 가장 많이 검출된 제품은 기준치의 9배를 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면류의 알루미늄 함량에 대한 기준치가 없었기 때문에 소비자원도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에서 얼마나 알루미늄이 검출되었는지를 밝힐 수가 없었다. 다만 7개 제품에서 11.36∼94.27㎎/㎏의 알루미늄이 검출됐다고만 발표했다. 가장 적은 제품과 가장 많은 제품의 편차가 8배가 넘는다. 그런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이에 대해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식약처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기준치를 근거로 제시했는데, CODEX의 [[국수]] 및 생[[파스타]]류의 명반 함량 허용치는 300mg/kg이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당면의 알루미늄 함량은 기준치의 31.4%에 불과하며 다른 식품에서 섭취하는 알루미늄을 감안해도 한국인에게는 안전한 수준이라는 것이 식약처의 입장이다. 또한 [[EU]]의 기준치는 [[밀가루]] 산업 보호를 위한 일종의 비관세 무역장벽의 성격이 짙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ref name="sbs_news" /> 명반의 유해성 시비가 계속되다 보니, 아예 명반을 사용하지 않고도 당면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서 최근에는 명반을 안 쓴 당면들이 많으므로 알루미늄이 걱정돼서 당면을 안 먹을 필요는 없다. 다만 위의 소비자원 조사 결과도 명반을 안 쓰고 만든 당면도 포함되어 있었다. 식물이 흙에서 이런저런 중금속을 빨아들이기 때문에 그런 부분도 감안할 필요는 있다. {{각주}} [[Category:국수]]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틀:관용구:이하생략
(
원본 보기
)
당면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