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바뀜
통계
임의의 문서로
도움말
문서
토론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로그인
룽고 문서 원본 보기
내위키
←
룽고
이동:
둘러보기
,
검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Lungo. [[에스프레소]]로 만드는 [[커피]] 음료. [[이탈리아어]]로 lungo는 [[영어]]의 long에 해당된다. [[프랑스어]]로는 café allongé라고 하는데 여기서 allongé 역시 '길쭉한'이라는 뜻이다. 종종 [[카페 아메리카노]] 또는 [[호주]]나 [[뉴질랜드]]의 [[롱블랙]]과 혼동하는데, 예를 들어 [[아메리카노]]보다 물을 좀 덜 넣으면 룽고가 된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원래는 물을 따로 타는 게 아니라 커피의 추출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다. 기계나 브랜드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에스프레소]]를 뽑을 때에는 보통 20~30초 정도 추출해서 30 ml 이하를 추출하는 반해<ref>이건 어디까지나 [[이탈리아]]의 7g → 30 ml 공식에 따른 것으로 요즈음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이탈리아]] 바깥에서는 20g 이상도 사용하며 그에 따라 [[에스프레소]]의 추출량도 30 ml 정도는 훌쩍 넘어간다.</ref> 룽고로 추출할 때에는 40초~1분 안팎으로 길게 추출을 해서 음료의 양을 에스프레소의 두 배 이상으로 뽑으므로 양 차이가 크다. [[롱블랙]]은 [[카페 아메리카노]]보다는 물을 적게 타는 편이지만 룽고보다는 많이 들어가며 [[롱블랙]] 역시 [[에스프레소]]를 뽑아서 물과 섞는 점에서는 룽고와 확실히 다르다. 룽고와는 반대로 [[리스트레토]]는 추출 시간을 보통의 [[에스프레소]]보다 짧게 해서 추출량을 반 정도로 한다. 즉 음료의 양은 룽고 > [[에스프레소]] > [[리스트레토]]가 되고 추출된 액의 진한 정도는 그 반대 순서가 된다. [[에스프레소]]보다는 추출량도 훨씬 많고 농도가 연하므로 보통은 다른 걸 타지 않고 그냥 마시거나 [[우유]]를 조금 타는 정도로 마신다. [[커피]]를 추출할 때에는 산미가 먼저 추출되고 단맛과 쓴맛은 조금 지연되어 나오므로 같은 원두를 사용했다면 [[리스트레토]]에 비해 룽고는 단맛과 쓴맛이 좀더 강하게 나온다. 원두의 산미가 강하다면 룽고가 좀 더 밸런스가 맞을 수 있겠지만 잡맛이 딸려나올 위험도 커진다. 다만 요즈음 [[스페셜티 커피]]를 주력으로 하는 [[카페]]들 위주로 [[에스프레소]] 치고는 [[커피]]를 약하게 볶는 곳이 늘어나는 추세인데, 이런 곳이라면 룽고로 추출해도 쓴맛이 과하게 딸려나올 위험은 줄어든다. 또한 추출 시간이 긴 만큼 [[크레마]]는 [[에스프레소]]에 비해 약하며 [[크레마]]의 입자도 굵은 편이다. 우리나라에서 룽고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는 [[이탈리아]] 계열 카페 체인인 파스쿠치나 세가프레도조차도 메뉴에 걸어놓고 있지 않다. [[폴 바셋]]이 처음에는 [[아메리카노]] 대신 카페 룽고를 메뉴에 걸어놓았다.<ref>그런데 [[이탈리아]]에서는 그냥 룽고라고 하지 카페 룽고라고 하지는 않는다.</ref> 여기 가서 [[아메리카노]]를 찾으면 룽고를 드시라고 안내했다. [[폴 바셋]]이 [[호주]] 출신이긴 한데 [[카페 아메리카노]]나 [[롱블랙]]은 없고 룽고만 판매하고 있다가, 나중에 아메리카노를 추가했다. [[롱블랙]]은 그보다 한참 뒤에 메뉴에 넣었다.<ref>오히려 [[투썸플레이스]] 같은 다른 카페 체인들이 먼저 [[롱블랙]]을 판매했는데, 정작 호주 출신 [[바리스타]] 챔피언이라고 자랑하는 [[폴 바셋]]에는 [[롱블랙]]이 없으니 의아해 하는 손님들이 꽤 많았다.</ref> {{각주}} [[Category:커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
원본 보기
)
룽고
문서로 돌아갑니다.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